-
이슈추적 1
과거 사회인텔리층의 대부분은 가난한 집에서 부모의 교육열과 자신의 끈기 하나로 그 자리까지 올랐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것도 옛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부잣집 자녀는 공부를 잘하고, 가난한 집 자녀는 공부를 못한다.
가난이 대물림되고 교육이 대물림되는 교육양극화, 우리사회의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이에 교육부가 올해를 교육격차...
방송일자 : 2006.02.16
-
이슈추적 2
이태백. 이십대 태반이 백수라는 이 말이 낯설지 않게 된지 오랩니다.
대학을 졸업해도 마땅한 곳에 취업하지 못하고 취업 준비를 위해 재수와 삼수를 거듭하는 학생들.
문제는 이렇게 취업난에 허덕이는 이유가 대학을 졸업하는 사람들의 능력 부족 때문이 아니라 대학졸업자가 필요 이상으로 많기 때문이라는데 있습니다.
우리 사회 문제로 커지고 있는 대학의 구조개...
방송일자 : 2006.02.16
-
한미 FTA 협상, 경제적 효과는? 등
이슈추적 24회
방송일자 : 2006.02.09
-
한미 FTA 협상, 경제적 효과는?
개방의 물결이 거세게 밀려오고 있습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정부는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과 쇠고기 수입 재개를 결정하면서 한미 FTA 협상의 닻을 올렸습니다.
당장 농민들과 영화인들의 반발이 거세지만 한편에서는 FTA 체결이 우리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여론도 있습니다.
과연 우리는 FTA를 체결해야만 하는 것인지 한미 FTA 체결을 통한...
방송일자 : 2006.02.09
-
노년이 즐거운 세상
우리시대의 고령화를 염려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빈곤노인층은 증가하고 있는데, 고령화시대에 적합한 사회시스템은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보건복지부가 이 상황을 타개하려고 나섰습니다.
올해 1106억원을 투입해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8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사정이 그리 녹록치 않아 보입니다....
방송일자 : 2006.02.09
-
부동산투기 근절로 서민주거 안정화 이룬다 등
이슈추적 23회
방송일자 : 2006.02.02
-
부동산투기 근절로 서민주거 안정화 이룬다
오는 3월 판교신도시가 첫 분양을 앞두고 있습니다.
부동산시장이 술렁이고, 분당과 용인, 강남의 재건축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기류를 타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831 부동산대책의 약발이 다 된 것 아니냐는 말을 하고 있고, 더 강력한 후속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부동산투기를 근절하고, 서민들의 내집마련의 꿈을 살...
방송일자 : 2006.02.02
-
스크린쿼터 축소, 한국영화의 미래는
지난 27일, 그동안 한미간 FTA 협상의 전제 조건으로 미국측이 요구해 왔던 스크린쿼터 축소를 정부가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오는 7월부터 현행 146일로 정해져 있는 한국영화 의무상영기간이
지금의 절반인 73일로 줄어듭니다.
그동안 꾸준히 스크린쿼터 유지를 주장해 온 영화계는 철야 농성을 벌이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방송일자 : 2006.02.02
-
일자리 창출을 통한 양극화 해소 방안은? 등
이슈추적 22회
방송일자 : 2006.01.26
-
일자리 창출을 통한 양극화 해소 방안은?
노무현대통령의 신년연설을 계기로 우리사회의 양극화 해소가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양극화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때 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해법이 간단치가 않습니다.
이슈추적은 양극화 해법의 핵심으로 손꼽히고 있는 사회적 일자리 만들기에 주목해 봅니다.
과연 일자리 창출...
방송일자 : 2006.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