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 & ISSUE
세계 최강 미국과의 FTA체결은 우리 사회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본 협상을 두 달여 앞두고도 찬반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으로선 가장 큰 시장인 미국과의 FTA를 경제도약의 기회로 삼아야한다고 강조합니다.
하지만 또 다른 쪽에선 한-미 FTA가 충분한 준비 없이 졸속으로 추...
방송일자 : 2006.04.27
-
심층취재 “탐사”
1961년 옛 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우주 비행을 마치고 돌아왔을 때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우주에서 본 지구는 아름다운 푸른 별이었다.”
1969년, 미국 우주선 아폴로 11호를 탄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첫발을 내딛었을 때 전 세계인들의 가슴은 벅차올랐습니다.
45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는 첫 우주인을 배출하기 위...
방송일자 : 2006.04.27
-
장애인 일자리 창출, 어떻게 해야 하나? 등
이슈추적 34회
방송일자 : 2006.04.20
-
이슈 & ISSUE
우리나라의 장애인 실업률은 비장애인에 비해 7배가 넘을 정도로 취업이 어렵습니다. 설사 어렵게 일자리를 얻더라도 단순 노무직이 대부분이고 월평균 소득은 비 장애인 노동자들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이 현실입니다.
정부는 장애인 고용을 늘리기 위해 의무고용비율, 장애인 생산품 우선 구매제도 등 각종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만 장애인 일자리는 제자리를 맴돌...
방송일자 : 2006.04.20
-
심층취재 “탐사”
우리나라는 짧은 기간 동안 세계가 부러워하는 국가적 성장을 이루어냈습니다. 경제가 성장했고, 정치, 사회 전반에서 다양한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모든 것이 가능했던 건 어느 나라보다 높은 교육열, 그리고 그 교육열을 수용하기 위한 교육제도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에서 우리 교육의 현주소는 어떤 모습일지, 살펴봅니다.
방송일자 : 2006.04.20
-
연금개혁,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등
이슈추적 33회
방송일자 : 2006.04.13
-
이슈 & ISSUE
국가가 국민의 노후를 보장하기 위해 지난 1988년 도입한 국민연금 제도는 처음부터 폭탄을 안고 출발했습니다.
월수입의 3%를 내면 소득의 70%를 연금으로 돌려주겠다는 적게 내고 많이 타가는 연금구조는 2047년으로 맞춰진 기금고갈시점을 향해 한걸음씩 다가가고 있습니다.
정부는 더 내고 덜 받는 구조로 연금개혁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지만 여야간 이견차...
방송일자 : 2006.04.13
-
심층취재 “탐사”
우리 사회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진행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우리나라의 고령화.
급격하게 진행중인 고령화로 인해 치매, 중풍 등 수발이 필요한 노인층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회의 그림자로 놔두기엔 노인복지문제의 해결이 시급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음지가 아닌 양지로 꺼내어 이 시간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합...
방송일자 : 2006.04.13
-
주거문화,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등
이슈추적 32회
방송일자 : 2006.04.06
-
주거문화,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방송일자 : 2006.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