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정 조기집행 우수 자치단체장 오찬
이명박 대통령은 상반기 지방재정 조기집행 실적이 우수한 28개 기초자치단체장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하반기에도 국민과 가장 가까이 있는 시·군·자치구가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오찬 간담회에 앞서 이 대통령은 경기 파주시,경남 양산시,경북 군위군 등 6개...
방송일자 : 2009.07.30
-
남해안 규제 완화…투자 활성화
천혜의 관광자원을 갖고 있으면서도 각종 규제에 묶여 투자가 쉽지 않았던 남해안
지역의 투자여건이 개선됩니다.
특히 숙원사업이었던 숙박시설 설치 기준의 대폭 완화가 이뤄집니다.
수려한 자연환경과 남도 특유의 멋을 자랑하는 남해안.
하지만, 보존을 이유로 전체 면적의 20% 이상이 국립공원과 수산자원 보호구역으로
묶이면서, 각종 개발이 제한돼 투...
방송일자 : 2009.07.30
-
일자리 창출 외투기업에 현금 지원
정부가 외국인투자 확대를 위해, 한층 강화된 투자 유인책을 발표했습니다.
국내에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외국인투자 기업엔 현금이 지원되고, 부품·소재
전용단지에 입주하는 기업들의 임대료도 감면됩니다.
정부가 외국인 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대대적인 지원에 나섭니다.
먼저 그동안 부품·소재처럼 고도의 기술을 가진 외국 기업에만 ...
방송일자 : 2009.07.30
-
공공기관 온실가스 배출, IT로 줄인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범지구적인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데요.
정부가 공공기관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하반기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갑니다.
우리나라의 탄소 배출량은 2006년 기준으로 세계 9위.
하지만, 배출량의 증가율로는 세계 1위라는 불명예를 떠안고 있습니다.
특히 지자체별로 온실가스...
방송일자 : 2009.07.30
-
콘텐츠 산업 지원체계 대폭 개선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은 국내외 시장에서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세계시장
점유율은 미약한 편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신성장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콘텐츠 산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원 체계를 대폭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국내 시장 규모는 2007년 기...
방송일자 : 2009.07.30
-
정부, 北에 선원 조기송환 촉구
정부는 우리측 어선이 동해 북방한계선을 넘었다가 북측에 예인된 사건과 관련해
선박과 선원의 조속한 송환을 북한에 공식 촉구했습니다.
천해성 통일부 대변인은 "오늘 오전 남북 해사당국간 통신 채널을 통해 우리측
선원과 선박의 조속한 귀환을 촉구하는 전통문을 발송했다"고 밝혔습니다.
군당국은 오늘 오전 아침 6시17분경 우리측 어선 한척이 강원도 제...
방송일자 : 2009.07.30
-
아시아 30개국 희귀우표가 한자리에
아시아 30여개국의 우표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오늘 개막했습니다.
사람과 자연, 우표를 컨셉트로 20만장의 우표가 전시되는 '2009 아시아 국제우표전시회'가
8월 4일까지의 일정으로 오늘 서울 코엑스에서 시작됐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챔피언십과 전통 우취, 우편사 등 모두 12개의 전시 부문으로
나쥐어 희귀하고 수준 높은 아시아 ...
방송일자 : 2009.07.30
-
복지부, 다음달부터 제약사 리베이트 제재
리베이트를 제공해 의약품 유통질서 문란시키는 행위에 대해 제제조치가 내려집니다.
정부는 국민들이 적정한 가격에 양질의 의약품을 복용할 수 있도록 약값 거품을
제거할 방침입니다.
다음달부터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제약사의 경우 약값 인하등 제재조치가 취해집니다.
예를 들어 천원인 의약품이 있다고 가정할 때, 리베이트에 들어간 비용이 200만원,
처방...
방송일자 : 2009.07.30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P style>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09.07.30
-
미디어 강국으로 도약하는 기회 [현장포커스]
미디어 관련법의 개정으로 29년간 막혀있던 신문과 방송의 칸막이가 제거됐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미디어 관련법이 미디어 산업에 가져올 다양한 변화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박성욱 기자.
국민들은 상당수는 미디어법이 무엇인지 잘 모를수 있거든요, 미디어법의 개정
필요성은 어디에 두고 있나요?
네, 이번 미디어 관련 법안 통과 이전까지 ...
방송일자 : 200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