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임산부 가방고리 대신 '핑크라이트’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임산부 가방고리 대신 '핑크라이트’

등록일 : 2017.03.14

앵커>
언뜻 봐선 잘 표가 나지 않는 초기 임산부들도 전용좌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나눠주는 가방고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가방고리를 달고 지하철을 타도 자리를 양보 받지 못하는 경우가 참 많은데요.
최근엔 임산부가 타면 배려석에 불이 들어오게 한 '핑크라이트' 캠페인이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천소담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서울에서 운행되는 한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이 있지만 일반 시민들이 자리에 앉아 있습니다.
평소 쉽게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임산부 배려석과 관련된 민원이 끊이질 않습니다.
지난해 서울도시철도공사 홈페이지에 접수된 임산부 배려석 관련 민원은 115건이나 됩니다.
전화 인터뷰> 박석승 팀장 / 서울도시철도공사 문화홍보팀
“시민들이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합니다.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달라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정부와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지난 2010년부터 겉으로 표시가 잘 나지 않는 초기 임산부들을 위해 임산부 가방고리를 발급해줬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한 설문 조사를 보면 임산부 가방고리가 보급된 뒤 배려석을 양보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임산부는 16%에 그쳤습니다.
시민들이 임산부 가방고리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 서울 시내 거리와 지하철 환승구간에서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저희 취재진이 시민들에게 물어본 결과 임산부 가방고리를 잘 모른다는 시민이 이처럼 절반을 넘어 안다는 시민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이번에는 취재진이 직접 임산부 가방고리를 달고 좌석을 양보해주는지 확인해봤습니다.
세 정거장이 지날 때까지 임산부 배려석에 앉은 시민이 자리를 비켜주지 않습니다.
인터뷰> 이선희 임산부 / 경기 김포시
“착용한다고 하더라도 효과를 못 느끼겠어요. 그것보다는 더 효과적인 정책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부산시가 임산부 우대 정책으로 펼치는 핑크라이트 캠페인.
임산부가 열쇠고리 모양의 비콘을 갖고 지하철을 타면 배려석에 설치된 핑크라이트에 자동으로 불이 켜지면서 자리를 양보하도록 유도한 겁니다.
핑크라이트 캠페인이 큰 호응을 얻으면서 부산김해 경전철에 이어 부산지하철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임산부 가방고리를 달고 다녀도 지하철에서 음악을 듣거나 잠자는 시민이 많아 배려석을 양보받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
핑크라이트 캠페인 같은 좀 더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아쉽기만한 임산부 배려문화.
저출산 문제 속에 임산부가 안심하고 다닐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데 모두의 관심이 필요할 때입니다.
국민리포트 천소담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