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이 가져올 위기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민간 기업과 금융계에서도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아이가 셋인 김은경씨, 최근 아이가 많을 수록 유리한 금융상품이 쏟아져 나오면서 통장을 하나를 새로 마련할 계획입니다.
3달 후 둘째를 출산하는 이혜진 씨도 아이를 많이 낳을수록 많은 혜택을 주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반갑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실제 최근 출산장려형 금융상품이 인기를 모으면서 새로운 상품들도 속속 출시되고 있습니다.
우리 은행은 출산 장려와 관련해 올 2월 20세 미만인 자녀가 셋 이상일 경우 0.5% 이자를 우대해주는 대출상품을 새로 개시했습니다.
또 기업은행은 출산에 대한 혜택을 자녀 수에 따라 차별을 두는 상품이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또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결 조건인 일하는 여성의 보육문제 해결도 실마리가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올해 1월말부터 300인 이상 여성근로자 또는 전체 500인 이상 근로자 사업장에서는 사내 보육시설 설치가 의무화되고 3월부터는 노동부가 직장보육시설 설치에 대해 최대 2억5천만원까지 지원하기로 하면서 보육시설설치가 탄력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정부정책 뿐만 아니라 금융계와 각 기업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과 국민적 호응이 함께 한다면 얼마든지 저출산 문제 얼마든지 우리가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