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사상과 이념을 넘어 활발한 경제 협력으로 한반도 분단의 벽을 낮추고 있는 참여정부의 성과를 알아봅니다.

언젠가부터 우리 시장에 유입돼 소비자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는 북한산 제품들.

소비자들도 저급한 중국산 제품보다는 같은 한반도에서 생산된 북한산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지난 해 교역 업체수는 모두 523 곳에 교역품목은 모두 774개로 이 가운데 일반 교역은 399품목, 위탁 가공 교역은 243품목에 이릅니다.

이렇듯, 작게는 소비자의 구매 촉진부터 크게는 기업의 투자와 생산에 이르기 까지 지난 2005년 사상최초로 남북교역 금액이 1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일반 교역과 위탁가공교역등 상업적 거래는 약 6억 9천만달러, 민간지원과 사회문화협력사업 등 비상업적 거래는 3억 6천만달러에 이르는 등 2004년보다 각 98.5%, 40.5%씩 증가했습니다.

지난 1988년 7.7 선언 이후 재개된 남북교역이 1991년 1억달러를 넘어선데 이어 참여정부에 이르러 14년만에 10배이상으로 그 양이 늘어난 것입니다.

통일부와 무역협회 관계자는 남북교역이 증가 한데 대해 참여정부 최대 과업인 개성공단개발과 금강산 관광 시설 확대 등이 그 이유라고 설명합니다.

지난 6년 동안 일반교역으로 반출된 품목은 전기전자제품과 기계류, 농수산물 등이며 개성공단이 가동된 지난해 반출된 품목은 철구조물과 경유, 건설중장비 등으로 공단건설에 필요한 건설자재와 입주업체의 상품생산에 필요한 산업.기계 등이 10대 품목으로 주류를 이뤘습니다.

이는 참여정부 출범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전체 반출금액 가운데 48%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지난해 북측으로 원부자재를 보내고 완제품을 반입한 위탁가공 교역은 1억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외에도, 농림 수산물과 아연괴를 중심으로 한 철강, 모래 등의 광산물은 일반교역으로 지난 6년동안 1억4천만 달러에 이르는 양이 반입됐습니다.

이렇게 참여정부에 이르러서 반입규모도 최고액인 1억8천만 달러까지 성장하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참여정부의 성공적인 남북교역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남북교역이 우리나라 전체 무역에서 차지한 비중은 0.19%로 아직까지는 미미한 수준이라는 지적입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지속적인 남북 교역 활성화를 위해 무엇보다도 신속한 육상운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기업하기 좋은 여건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통일부 역시 기업인들의 어려움을 고려해, 남은 참여정부 기간동안 기업인들과 활발한 남북 교역을 위한 제도 개선에 북측과 협력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