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일감 몰아주기 '사각지대'···규제대상보다 많아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일감 몰아주기 '사각지대'···규제대상보다 많아

등록일 : 2018.08.28

신경은 앵커>
공정 거래 위원회가 자산 5조원 이상인 기업들의 주식 소유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조사 결과 '규제 사각 지대'에 있는 회사가 규제 대상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유영 기자입니다.

김유영 기자>
현행 공정거래법은 총수일가 보유지분이 상장회사 30%, 비상장회사 20% 이상인 회사를 대상으로 그룹이 일감 몰아주기를 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올해 사익편취 규제의 대상이 되는 회사는 47개 기업집단 소속 231개사입니다.
총수일가 지분율은 평균 52.4%에 달했습니다.
규제대상 회사가 많은 집단은 중흥건설, 호반건설, 효성 순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규제를 피하기 위한 '사각지대'에 남아있는 회사가 규제대상보다 많은 376개사나 된다는 게 문제입니다.
특히 규제를 살짝 피하는 총수일가 지분율 29~30%사이인 상장사는 7개사였습니다.
이노션, 현대글로비스, KCC건설, 코리아오토글라스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사익 편취규제 사각지대 회사를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은 효성이 27개사로 가장 많았고, 유진. 넷마블, 중흥건설, 호반건설 순이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사익편취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일감몰아주기 규제 기준인 총수일가 지분율 기준을 상장사와 비상장사 모두 20% 이상으로 일원화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신봉삼 / 공정거래위원회 기업집단국장
“2013년에 도입된 사익편취규제는 총수일가가 직접 지분을 보유한 회사에 한해 상장 ·비상장사를 차등화 해서 제도를 설계한 결과 일부 지분 매각, 자회사로의 변경 등 각종 규제 회피 사례가 이어졌습니다.”

공정위는 현행 공정거래법이 사각지대가 많아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공정거래법 개정이 절실하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KTV 김유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