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멸종 위기 따오기, 40년 만에 한반도 하늘 날다" [현장in]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멸종 위기 따오기, 40년 만에 한반도 하늘 날다" [현장in]

등록일 : 2019.05.23

유용화 앵커>
1979년 비무장지대에서 관찰된 뒤 자취를 감췄던 따오기가 오늘, 우포 하늘로 날아 올랐습니다.
10년의 노력 끝에 복원된 따오기가 다시 자연의 품으로 돌아온 것입니다.
현장인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환경오염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사라졌던 천연기념물 따오기.
화려한 자태를 뽐내며 힘찬 날갯짓과 함께 자연으로 돌아갔습니다.
지난 1979년 비무장지대에서 마지막으로 모습을 보인 뒤 자취를 감춘 천연기념물 198호 따오기.
2008년과 2013년 중국으로부터 두 차례에 걸쳐 4마리의 따오기를 기증받은 뒤 10년간의 복원사업 끝에 지금은 360여 마리까지 증식에 성공했습니다.
이번에 자연 방사된 40마리의 따오기들은 이곳 훈련장에서 비행 훈련과 먹이 사냥 등 야생적응 훈련을 거쳐 자연으로 돌아갈 준비를 마쳤습니다.
멸종 40년 만에 이뤄지는 건데, 이번에 방사되는 따오기 수도 40마리.
암수비율은 1:3, 어미와 새끼의 비율은 2:1로 이뤄졌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이뤄진 첫 야생 방사가 성공으로 이어지려면 야생에서의 적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녹취> 조명래 / 환경부 장관
“생물다양성은 우리의 생존 기반이자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이어나가기 위한 전제 조건입니다. 현재 국토의 15.5% 해당하는 보호지역을 2021년까지 국제적 권고 수준인 17%까지 늘리겠습니다."

우리보다 앞서 2008년부터 따오기 야생 방사를 해온 일본의 경우 초기 3년간 생존율이 40% 수준.
우리나라는 최소 30%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본이나 중국과 달리 특수훈련을 거친데다 인근의 대규모 자연 습지 등 서식 환경이 생존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제가 서 있는 곳이 바로 우리나라의 최대 습지인 우포늪입니다.
이곳에는 각종 물고기와 벌레 등 풍부한 먹잇감은 물론이고 따오기들이 휴식을 즐기거나 천적으로부터 몸을 숨길 수 있습니다.
복원센터는 따오기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동안 머물렀던 훈련장의 문을 열어놓고 스스로 자연으로 나갈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따오기에 위치추적기를 달아 실시간으로 관찰하면서 앞으로 서식환경 관리도 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이성봉 / 우포따오기사업소 따오기관리계장
"모니터링 결과를 통해서 저희들이 대체 서식지를 만들고 따오기를 내년에 어떻게 방사할지 몇마리를 할지 그런 연구 자료가 될 것입니다."

환경오염과 무분별한 서식환경 훼손으로 사라진 뒤 40년 만에 돌아온 따오기.
(영상취재: 김윤상, 심동영 / 영상편집: 양세형)
따오기의 힘찬 날갯짓이 이어지려면 야생성 회복은 물론 서식 환경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새로운 과제로 남았습니다.

현장인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