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정부차원의 혁신이 이뤄졌는데요,
정부가 오는 26일부터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정부혁신 세계포럼에 대표단을 파견해 우리정부의 혁신 성과를 알릴 계획입니다.
최고다 기자>
정부가 26일부터 29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리는 `제7차 정부혁신세계포럼`에 대표단을 파견해 우리 정부의 혁신 사례를 세계에 알립니다.
정부혁신세계포럼은 UN이 주관하는 행사로 정부혁신에 관련해서는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컨퍼런스입니다.
이번에 열리는 제 7차 포럼에선 연간 300만 시간이상의 고객 대기 시간과 238억원 가량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는 법무부의 출입국 심사 서비스 ‘KISS’가 UN의 공공행정상을 받게 될 전망입니다.
우리 정부의 혁신 성과를 세계가 인정한 셈입니다.
이 밖에도 우리 대표단은 관세청의 전자통관시스템 UNI-PASS와 조달청의 온라인 마켓 나라장터 등도 세계 각국에 적극 홍보할 방침입니다.
세계가 우리 정부의 혁신을 인정하기까지엔 정부의 혁신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의지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참여정부 출범 후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아 상을 받은 혁신 사례 만해도 24개 부처의 36건에 이릅니다.
정부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혁신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단다는 방침입니다.
다음달부터 건축 인·허가 절차의 전 과정을 인터넷으로 처리하는 ‘인터넷건축행정시스템‘이 부산에서 시범실시됩니다.
이 시스템이 도입되면 민원의 처리기간이 60일에서 15일로 줄어들고 건축 민원 신청 시 필요했던 40여종의 구비서류 가운데 상당수는 행정정보공유시스템에 접속만으로 처리가 가능해 집니다.
이렇게 되면 민원인들은 각종 건축 인·허가 관련 서류의 인지대를 내지 않아도 되고, 연간 약 1조 4700억원의 행정비용 절감효과도 기대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