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이후 중단된 한미 재무통상 수장 간 2+2 고위급 협의가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립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정부가 원팀으로 국익과 실용차원에서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대외경제장관회의
(장소: 22일, 정부서울청사)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시한인 8월 1일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부가 구윤철 경제부총리 주재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소집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회의 후 진행된 약식 기자회견에서 오는 25일 미국과 2+2 고위급 협의를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지금 8월 1일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지금 저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의 재무장관 미국의 ustr(무역대표부)해서 2+2로 25일에 회의를 하는 것으로 확정되었습니다."
2+2 재무통상 회의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우리 측 대표로 참석합니다.
미국에서는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가 나서기로 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대신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참여하는 것은 미국 측에서 재무장관과 미 무역대표부 요청이 와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외교 장관과 산업 장관은 별도로 만나 각 분야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회의를 앞둔 구 부총리는 "8월 1일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있지 않다"며 "모든 부처가 원팀으로 국익과 실용차원에서 치밀한 계획으로 총력 대응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최대한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오늘 논의했고, 마지막 갈 때까지도 최선을 다해서 촘촘한 전략을 마련할 계획에 있습니다."
한편,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시하는 것은 협상의 시점이 아니라 질"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8월 1일로 못 박은 유예 시한은 더이상 연장되지 않을 거라고 예고했습니다.
상호관세를 일단 시행한 뒤 협상을 계속 이어가겠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세원)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