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기업이 석유화학 산업의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해 손잡았습니다.
주요 10개 석유화학 기업은 최대 370만 톤 규모의 설비 감축을 목표로 연말까지 구체적인 사업재편 계획을 제출하기로 했습니다.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장소: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석유화학산업 구조개편을 논의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모두발언을 통해 "중국과 중동 등 글로벌 공급과잉이 예고돼 왔다"며 "국내 업계는 과거 호황에 취해 오히려 설비를 증설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업계는 고부가 전환까지 실기하며 석유화학업계는 현재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지금 석유화학산업이 직면한 문제는 명약관화(明若觀火)합니다. 하지만,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그동안 이 문제를 직시하지 못했습니다."
구 부총리는 위기 극복을 위해 과잉설비 감축과 근본적 경쟁력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계획을 업계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주요 10개 석유화학 기업과 사업 재편 협약을 체결 했습니다.
연말까지 최대 370만 톤 규모의 설비 감축을 목표로 각 사별로 구체적인 사업 재편 계획을 제출할 계획입니다.
구 부총리는 업계에 '당장 다음 달'이라도 계획을 제출하겠다는 각오로 속도감 있게 임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정부도 산업부 중심으로 기업과 대주주의 자구노력이 재편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업계와 밀착 소통을 약속했습니다.
또한, 업계에서 제출한 사업재편계획에 대한 타당성과 기업들의 자구노력을 종합 검토한 뒤 필요한 금융과 세제, R&D, 규제 완화 등을 마련해 뒷받침할 예정입니다.
반면, 사업재편을 미루거나, 무임승차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는 등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구윤철 / 경제부총리
"민관이 합심해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이뤄냅시다. 업계가 제출한 계획이 진정성 있다고 판단되면, 규제 완화, 금융, 세제 등 종합대책을 적기에 마련해 지원하겠습니다."
한편 구 부총리는 금융위에 채권금융기관과 함께 재무상황과 자구노력 등에 대한 기업 모니터링을 강화하라고 주문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