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투데이입니다.
1. 아프가니스탄, 강진 발생···마을 붕괴
아프가니스탄 동남부 쿠나르주에서 규모 6.0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지진으로 1,400명이 목숨을 잃고 3,000명이 넘게 다쳤으며, 주택 5,400여 채가 파괴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피해 지역 주민들은 사실상 마을 전체가 무너져 내렸다며 고통을 호소했습니다.
한 생존자는 순간적으로 마을 전체가 무너져내렸다고 증언하며, 아내와 아들을 잃었다고 전했는데요.
이어지는 여진으로 주민들은 추가 붕괴를 우려하며 불안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녹취> 미르 살람 칸 / 쿠나르 주민·지진 생존자
"어젯밤 지진으로 마을이 무너지고 집도 완전히 파괴되었습니다. 저희는 가진 게 아무것도 없어요. 하루 10~20아프가니를 벌 뿐입니다. 모든 것을 하나님께 의지해야 해요."
이런 가운데, 유엔은 여전히 많은 이들이 잔해 속에 갇혀 있다며 앞으로 사상자 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 트럼프 "심각한 금리 인하 필요"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를 향해 다시 한번 강한 압박을 가했습니다.
금리 인하가 시급하다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경제가 강해 그나마 타격이 덜하긴 하지만, 여전히 금리가 너무 높아 국민이 주택담보대출을 얻기 어렵다며, 심각한 수준의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겨냥해 너무 늦다는 말을 반복적으로 하며, 정치적 편향 의혹까지 제기했습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연준의 협조가 필요합니다. 제롬 파월 의장은 너무 늦었어요. 우리 경제가 너무 강해서 고금리 문제를 뚫고 나아가고는 있지만, 주택담보대출을 받기가 너무 어려워졌습니다. 이제는 큰 폭의 금리 인하가 필요합니다."
한편, 전문가들은 연준의 독립성을 강조하며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금리 인하 압박이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3. WTO "80년 만의 무역 질서 붕괴"
세계무역기구, WTO가 글로벌 무역 질서가 전례 없는 혼란을 겪고 있다며, 80년 만에 가장 큰 충격을 받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주요 원인이라고 지목했습니다.
세계무역기구에 따르면 WTO 규칙에 따른 교역 비중은 올해 72%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지난해 80% 수준에서 매우 감소한 것으로, 80년 만의 최대 충격이라는 설명입니다.
이와 관련해 WTO 사무총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국제 무역 질서가 큰 불안정에 빠졌다며, 이는 무역 자체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나아가 불확실성을 초래한다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세계 무역 규칙은 지금껏 가장 큰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 80년간 전례 없는 혼란이에요. 관세가 지정학적 도구로 사용된다면 WTO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습니다. 그런데 이는 무역 자체의 문제보다도, 아무도 통제할 수 없는 불확실성을 초래할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 역시 기존 다자주의 체계가 흔들릴 경우, 각국 간 무역 갈등 심화로 인한 장기적인 타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4. 트럼프 "건강 이상설은 가짜 뉴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건강 이상설이 불거졌습니다.
발목 부종과 손에 멍이 관찰됐기 때문인데요.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노동절 연휴 동안 인터뷰와 골프 활동을 했다고 밝히며 "건강 이상 보도는 모두 가짜"라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주치의 역시 부종과 멍은 혈관 질환으로 인한 일반적인 증상이라며 소문을 일축했습니다.
녹취>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그런 소문이 난 줄은 몰랐네요. 저는 지난주 수많은 기자회견을 했고, 모두 성공적이었어요. 그런데 제가 이틀간 아무것도 하지 않았더니 사람들이 뭔가 이상하다고 했습니다. 어쨌든 그건 가짜 뉴스입니다. 이게 바로 언론이 신뢰를 잃는 가장 큰 이유죠."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79세로, 미국 역사상 최고령 대통령인데요.
전문가들은 고령 지도자의 건강 문제는 정치적 불안 요인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앞으로도 관련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지금까지 월드 투데이였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