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충격적인 대용량 배터리 폭발 실험···창문 '와장창'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충격적인 대용량 배터리 폭발 실험···창문 '와장창'

등록일 : 2025.09.03 11:57

김용민 앵커>
지난 7월과 8월, 아파트에서 전기 오토바이 배터리 폭발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습니다.
사고로 인한 사망자까지 나왔는데요.

김현지 앵커>
소방 당국이 대용량 리튬 이온 배터리의 화재 위험성을 보여주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창문이 깨질 정도의 강한 폭발이었습니다.
윤현석 기자가 실험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윤현석 기자>
(장소: 1일, 충청소방학교)

충전 중인 대용량 배터리 온도가 350도 이상으로 높아집니다.
과충전 상황을 가정한 겁니다.
잠시 후 배터리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10초도 지나지 않아 강한 불꽃이 일어납니다.
방 안의 온도는 순식간에 800도를 넘습니다.
배터리의 불길은 사방으로 뿜어져 나오고, 창문이 깨질 정도의 강한 폭발도 발생합니다.
이른바 열 폭주 현상입니다.

윤현석 기자 yoonhyun1118@korea.kr
"실험에 사용된 전기 오토바이용 리튬 이온 배터리입니다. 내부에 있던 배터리셀이 튀어나오는 등 열폭주 현상 발생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있습니다."

실험 결과 스프링클러가 연소 확대 방지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열폭주 현상 자체를 막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초기 대피에도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스프링클러 설치와 관계없이 순식간에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겁니다.

녹취> 허정필 / 부산소방재난본부 전문감식팀
"40초 이내에 주위를 분간할 수 없기 때문에 어디로 대피 해야 될 지 모르고 1분 이내에 사람이 견딜 수 없는 온도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소방 당국은 배터리에서 열이 날 경우 충전과 사용을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연기가 발생하면 즉시 대피할 것도 당부했습니다.

녹취> 김수영 / 국립소방연구원 화재원인분석팀장
"전동 킥보드나 특히 전기 오토바이 배터리 같은 경우에는 엄청난 대용량이고요. 그런 것들이 만약에 오프가스가 나오고 할 때는 어떻게 진압을 한다는 것보다 빨리 그 자리를 피하시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 같습니다."

특히 전기 이륜차에 사용되는 대용량 배터리의 경우 자는 동안에는 충전하지 않아야 합니다.
현관이나 통로에 대용량 배터리를 보관하지 않는 등 안전 수칙을 잘 지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대용량 배터리는 실외에서 충전하고, 공간이 여의치 않으면 베란다나 발코니 등 대피로 아닌 곳에서 충전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소방연구원은 이번 실험 데이터를 제도 개선에 반영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송기수 / 영상제공: 국립소방연구원 / 영상편집: 김예준)

KTV 윤현석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