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AI·딥페이크 이해하고 배워 '서울미디어페어' 호응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AI·딥페이크 이해하고 배워 '서울미디어페어' 호응

등록일 : 2025.09.06 12:10

육서윤 앵커>
빠르게 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응 능력을 키우는 것은 이제 더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인데요.
이런 흐름에 발맞춰 AI와 딥페이크 같은 첨단 기술의 양면성을 균형 있게 이해하고,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배우는 서울미디어페어가 열렸습니다.
그 현장을 이정민 국민기자가 찾아가봤습니다.

이정민 국민기자>
(장소: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 서울시 성북구)

화면 속 여러 장의 사진 중 진짜 사람과 AI가 만든 얼굴을 맞춰봅니다.

현장음>
"4번 맞았어요. 한 명만 더~"

생각처럼 구분하기가 쉽지 않은데요.
게임 형식의 체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AI 기술 발전을 실감합니다.
목소리 딥페이크를 사용해서 전래 동화를 더빙해 봅니다.

현장음>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호랑이님, 여기 있어요, 제발 잡아먹지 말아 주세요, 제발~"

캐릭터의 느낌을 살려 녹음한 자신의 목소리에 인공지능 기술이 더해지자 마치 성우처럼 동화 내용이 잘 전달됩니다.

인터뷰> 최서인 / 서울방송고 1학년
"음성변조가 되니까 더 신기하고 AI가 발전한 게 와닿아서 새로웠던 것 같아요. 막상 와서 해보니까 방송 기술 쪽으로도 발전한 것을 느껴서 신기해요."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뉴스를 진행해 보고,

현장음>
"앞에 있는 글씨 한번 읽어볼까요? 앵커 1번 맡은 친구~"

AI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내가 원하는 나만의 노래도 만들어 봅니다.

현장음>
"이거 앱이 있거든요, 다운 받으면 하루에 10곡씩 만들 수 있습니다."

인터뷰> 공서현 / 생성형 AI SUNO 체험 부스 진행
"굉장히 다양한 분들이 오셔서... 연세가 많은 분들 같은 경우에는 트로트를 좋아하시는데 AI가 발전돼서 트로트도 요즘에 잘 만들고 있어요. 그리고 어린 친구들 같은 경우에는 밴드나 K-팝 아이돌 발라드와 랩도 만들어서 정말 좋아해 줬어요."

인터뷰> 신현우 / 서울방송고 1학년
"(방송 환경을)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해줘서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방송 쪽으로 갈지 아니면 제작 업체로 갈지 이런 것을 정하기 힘들어하는 친구들이 많은데 그 친구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시스템 서비스를 비롯한 아바타 수어 기술 전시와 체험 등은 일상에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AI 기술이라는 점에서 친근하게 다가옵니다.

이정민 국민기자
"이곳을 찾은 관람객들은 AI 기술과 딥페이크, 미디어 윤리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체험하는 아주 특별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영상과 만화, 카드뉴스, 포스터 등 총 376편이 접수된 청소년 대상 '바른 AI 디지털 생활 창작 공모전'에서 가짜 뉴스 예방을 위한 독해 능력 향상을 강조한 작품과 AI 로봇 등 디지털 과의존 극복을 다룬 웹드라마 등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현장음>
차은유, 한소라 / AI 디지털 생활 창작 공모전 대상 팀
"'디지털시대의 역기능'이라는 주제를 담으려고 최선을 다했는데 이에 대한 보상을 받은 것 같아서 너무 기쁘고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관람하는데요.
정교한 화면 해설과 자막은 누구나 차별 없이 집중해서 미디어를 즐길 수 있게 도와줍니다.

현장음> 넷플릭스 코리아 더빙팀 담당자
"'더빙'으로 필터링하시면 한국어 더빙 화면 해설이 지원되는 다양한 작품 리스트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나 응급환자 발생 때 중요한 것이 골든타임.
가상 현실을 통해 소방차와 구급차 길 터주기를 체험합니다.

인터뷰> 김영혜 / 성북소방서 홍보교육팀
"시민들에게 소방서 길 터주기나 소방차가 사이렌을 켜고 출동을 갈 때 소방차 길 터주기 등을 꼭 참여해 주시라고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일상 속 깊이 스며든 인공지능 기술과 다양한 콘텐츠를 체험하고 배워보는 이번 프로그램은 일반인은 물론 미래 방송인의 꿈을 갖고 있는 청소년들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인터뷰> 이홍렬 /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장
"(새로운 기술이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를 그에 맞게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배움, 교육 이런 게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그래서 오늘 미디어페어는 학생들에게 배움과 경험, 교육의 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촬영: 박종선 국민기자)

AI 기술과 딥페이크.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을 보고 느낄 수 있는 미디어페어는 미디어 윤리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누구나 차별 없이 미디어를 즐길 수 있는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확인한 특별한 시간이었습니다.

국민리포트 이정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