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네트워크 장비의 50% 이상을 복구했다고 밝혔습니다.
중단됐던 647개 시스템 중 551개가 순차적으로 재가동될 예정인데요.
관련 소식 조태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태영 기자>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은 647개에 달합니다.
정부는 복구에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비의 50% 이상, 핵심 보안장비의 99% 이상이 재가동을 완료했습니다.
녹취> 김광용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차장
"오늘(28일) 중으로 647개 서비스 중 551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재가동해 서비스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부는 시스템 정상 작동 전까지 대책 사항을 안내했습니다.
먼저 정부24 중단에 따라 민원서류 업무는 주민센터, 세무서 등 소관 기관에 직접 찾아가야 합니다.
다만 주민등록등본은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사이트, 운전경력증명서는 경찰청 교통민원24 사이트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중단됐던 모바일 신분증은 신규 발급 등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정상 운영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등 민간앱을 통해 발급받은 경우, 금융거래 관련 제출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중단으로 인터넷을 통한 매매· 임대차 계약 신고가 불가능한 상황.
국토교통부는 지연된 계약 신고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거래 신고가 필요하면 29일부터 지방자치단체 기관을 방문해달라고 전했습니다.
경찰청은 교통범칙금 납부 시스템이 중단됨에 따라, 과태료 납부 기한을 연장할 방침입니다.
우체국 서버 마비로 우편물 접수·배송 처리도 지연 중입니다.
하지만 민간 택배사의 물류 수송은 문제 없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우정사업본부는 "복구 시점 예상은 어렵지만, 서비스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