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내년부터는 일반 건설업체와 전문 건설업체의 겸업 제한이 폐지돼 시공에서 관리까지 한 회사가 맡아서 할 수 있게 됩니다.

또 편법적인 다단계 하도급 문제를 일으켰던 시공참여자제도도 사라집니다.

11월7일 국무회의에서는 이같은 내용의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안도 의결됐습니다.

Q>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일반 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의 사업 영역이 보다 넓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습니까?

A> 우선 현행 제도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현재 일반 건설업자는 시공 계획과 관리를 맡고 전문 건설업체는 시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서로의 업무 영역을 침범할 수 없게 돼 있습니다.

하지만 개정안이 통과되면 내년부터는 일반 건설업체와 전문 건설업체가 서로의 사업 영역을 넘나들 수 있게 됩니다.

즉, 전문 건설업체가 일반 업종에 등록한 뒤 시공.관리 계획까지 포함한 전체 공사를 수주하고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또 반대로 일반 건설업체도 전문 건설업체를 설립해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Q> 개정안에 따르면 내년부터는 시공참여자제도도 폐지된다는데, 이 제도가 문제가 많았었죠?

A> 시공참여자제도는 십장, 즉 작업반장이 공사를 하도급받아 직접 시공하거나 재하도급 하는 제도입니다.

이 과정에서 부실시공이나 다단계 하도급, 임금 체불과 같은 문제가 발생해 그동안 논란이 돼 왔습니다.

이 때문에 최근 포항 전문건설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내년부터 이 제도가 폐지되면 건설사가 근로자를 성과급이나 단기계약 형태로 직접 채용해 시공할 수 있게 돼 이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함께 건설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도 마련됐습니다.

앞으로는 건설업체가 부도가 나더라도 발주처가 하도급 대금을 지급하도록 했습니다.

건교부는 또 자재납품업자도 하도급업자와 같은 수준으로 대금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한편, 무자격 시공에 대한 처벌도 대폭 강화했습니다,

현행 1년 이하 징역, 1000만원 이하 벌금에서 3년이하 징역, 3000만원 이하 벌금으로 강도를 높이고, 불법 재하도급과 건설업 등록증 대여 알선도 같은 수준으로 처벌하기로 했습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