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한일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
본문

KTV 국민방송

참여정부 동반성장 정책,‘성장·복지 조화’ 핵심

KTV 국정와이드

참여정부 동반성장 정책,‘성장·복지 조화’ 핵심

등록일 : 2006.09.19

일부 언론이 스웨덴 총선 결과와 결부해서 참여정부의 복지정책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재정경제부 조원동 경제정책국장 이 자리에 모셔서 언론 보도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알아보고 참여정부의 복지 정책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 스웨덴 총선결과 지난 10년간 집권했던 사회당 연합이 물러나게 되었습니다. 일부 언론의 해석처럼 이번 총선 결과를 스웨덴 국민들이 고복지모델의 실패를 인정한 것으로 봐야 할까요?

A>
① 이번 선거에서 이긴 중도우파의 선거공약도 고복지의 급진적 축소를 내걸지 않았음

- 실업급여의 점진적 축소 (평균소득의 80% → 65%)
- 양질의 교사확보 및 교육예산 증액
- 보건·의료 서비스에 대한 추가투자/교육 의료의 선택권 강화

② 사회당 정부에서도 30년대 복지모델의 과감한 수정을 추진중

- 복지지출 삭감 / 연금개혁 / 세제개혁 (누진세 완화 등)

ㅇ 이번 선거결과는 전통적 고복지 모델이 보다 성장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시장개혁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스웨덴 국민의 염원으로 이해

Q> 일부 언론에서 참여정부의 ‘성장과 복지’의 동반성장 정책과 스웨덴 복지모델을 결부해서 참여정부의 복지정책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스웨덴하면 최고의 복지국가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를 우리나라의 복지수준과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합니까?

A> 우리의 사회안전망은 IMF 이후부터 구축되기 시작하여 아직도 초보적 상태

* GDP 대비 복지지출 : 스웨덴 29% (03년), 한국 8.7% (05년)

ㅇ 우리의 복지지출 수준은 우리보다 경제발전이 늦은 터키의 절반수준

* GDP 대비 복지지출 : 터키 13.2% (99년), 한국 6.1% (01년)

Q> 참여정부는 성장과 복지 간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한다는 동반성장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이를 참여정부의 복지정책이 스웨덴식 고복지를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지요?

A> 워낙 복지에 대한 고려가 낮은 상태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성장과 복지의 조화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지부문 강화로 비추어진 것으로 보고 아쉽게 생각함

실제로 세계각국은 비록 출발점은 달랐으나, 성장과 복지의 조화를 추구

ㅇ 복지수준이 높았던 스웨덴 등 유럽국가는 복지수준을 낮추어 시장개혁을 도입

ㅇ 복지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미국의 경우는 복지적 요소를 가미

Q> 일부 언론은 권오규 경제부총리가 OECD대표부 대사로 있으면서 스웨덴 복지모델을 연구한 결과를 이른바 ‘권오규 보고서’라고 칭하면서 이 보고서가 스웨덴 복지모델을 답습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어떻게 보시는지요?

A> 과거 30~40년대 구축되었던 스웨덴의 고복지 모델은 스웨덴의 특수한 상황에서 탄생된 것이므로, 이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는 점을 분명히 지적

다만 동보고서는 90년대 이후 스웨덴 고복지모델의 수정과정, 즉 시장개혁을 통해 성장과 복지의 조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우리에게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고 지적

Q> 급속한 세계화 속에서 소외받는 계층이 늘고 있고, 결국 성장을 위해선 사회안전망 강화 등 복지제도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 같은 인식 또한 전 세계적 흐름 아닙니까?

A> 우리도 종래에는 성장만 강조해도 일자리창출을 통해 분배도 좋아지는 경제구조였음

그러나 세계화를 보다 폭넓게 수용하는 과정에서 양극화가 심화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범세계적 현상이기도 함

세계화를 거스를 수는 없으며, 이를 보다 폭넓게 수용해 나가려면 사회통합이 전제되어야 함.

사회안전망 강화는 사회통합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