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시설별 방역지침 추가···"행사·축제는 온라인으로"
유용화 앵커>
코로나19 산발적 집단감염이 이어지자 방역당국이 '생활 속 거리두기' 세부 지침을 추가로 마련했습니다.
기숙사, 학술행사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시설들을 대상으로 방역을 강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방역당국이 기숙사, 학술행사 등 생활영역과 다중이용시설 11곳에 대해 '생활 속 거리두기'...
-
노래 부르기·밀폐 공간 위험···"주말 활동 자제 당부"
신경은 앵커>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잇따르는 방문 판매 업체 사례를 분석한 결과, 노래 부르기나 밀폐된 공간이 위험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방역 당국은 주말 종교 행사는 취소하거나, 현장 참석자를 최소화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최근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서울의 방문판매업체.
확진자 총 219명 중 직접...
-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 확대···10분단위 날씨 예보
유용화 앵커>
올해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정책, 환경과 기상 분야 알아봅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 검사 지역이 확대되고요.
날씨 예보는 10분 간격으로 더 자주, 자세히 제공됩니다.
임하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임하경 기자>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검사 대상지역이 77곳으로 늘어납니다.
세종시와 충주시 등 수도권 외 38개...
-
'때 이른 폭염'···올해 6월 역대로 가장 더워
유용화 앵커>
올해 6월 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기상청은 지난달 전국 최고기온과 평균기온은 각각 28.0도와 22.8도로, 1973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평년과 비교하면 최고기온은 1.5도, 평균기온은 1.6도 각각 높았고 폭염일수도 평년보다 1.4일 많은 2일로 역대 6월 중 가장 많았습니다.
-
신규 확진 63명···호남권 병상대응체계 가동
김용민 앵커>
수도권을 넘어 충청과 호남까지 코로나19가 기세를 넓히고 있습니다.
특히 광주 지역 감염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데요.
정부는 확진자 급증에 대비해 호남권 병상 공동대응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이혜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이혜진 기자>
하루 신규 확진자가 63명으로 늘었습니다.
국외유입 11명, 지역발생 52명입니다.
지역별...
-
시설별 방역지침 추가···"행사·축제는 온라인으로"
김용민 앵커>
코로나19 산발적 집단감염이 이어지자 방역당국이 '생활 속 거리두기' 세부 지침을 추가로 마련했습니다.
기숙사, 학술행사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시설들을 대상으로 방역을 강화하기 위한 건데요.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방역당국이 기숙사, 학술행사 등 생활영역과 다중이용시설 11곳에 대해 '생활 속 거리두기' ...
-
노래 부르기·밀폐 공간 위험···"주말 활동 자제 당부"
김용민 앵커>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있는 방문판매업체 사례를 분석한 결과, 노래 부르기나 밀폐된 공간 등이 위험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방역당국은 주말 종교행사는 취소하거나 현장 참석자를 최소화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최근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서울의 방문판매업체.
확진자 총 219명 중 직접방문...
-
코로나19 국내 발생현황 브리핑 (20. 07. 03. 14시)
코로나19 국내 발생현황 브리핑 (20. 07. 03. 14시)
정은경 / 중앙방역대책본부장
곽 진 / 중앙방역대책본부 환자관리팀장
(장소: 질병관리본부 브리핑룸)
-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 확대···10분단위 날씨 예보
박천영 앵커>
올 하반기 달라지는 정책, 환경과 기상분야 짚어봅니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검사 지역이 확대됩니다.
또 날씨예보는 10분 간격으로 기존보다 더 자주, 그리고 자세히 제공됩니다.
임하경 기자입니다.
임하경 기자>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검사 대상지역이 77곳으로 늘어납니다.
세종시와 충주시 등 수도권 외 38...
-
방사청, 연구개발 장려금 신청서 접수
임보라 앵커>
방위사업청은 2020년도 연구개발 장려금 신청서를 접수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연구개발 장려금은 국방 분야 연구개발과 기술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연구원과 종사자의 사기를 진작하고 국방연구개발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로 올해는 금상 5천만 원 등 총 32건에 5억9천만 원의 장려금이 지급됩니다.
신청을 희망하는 경우 신청자의 소속에 해당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