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이산가족 상봉 재개
17일부터 오는 22일까지 제 16차 이산가족상봉행사가 금강산 일대에서 진행됩니다.
남북 두 정상은 2007 남북정상회담에서 내년 3월까지 금강산에 상시적인 이산가족면회소를 세우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에따라 이번 이산가족 상봉은 어느 때보다 큰 의미를 가질 전망입니다.
문현구 기자>
그동안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진 것은 화상상봉 6차례를 포함...
-
개성공단 조성공사 준공식
지난 2003년 6월에 첫 삽을 뜬 개성공단 1단계 조성공사가 16일 준공식을 갖습니다.
남북경협의 산실인 개성공단의 경제적 효과와 성과를 짚어봤습니다.
서정표 기자>
4년전 첫 삽을 뜬 개성공단, 개성공단 착공은 반세기 넘게 닫혔던 남북 경제가 하나가 되는 순간이었습니다.
개성은 그렇게 `평화체제 1막`을 알리며 남북 경제를 하나로 묶었습니다.
...
-
서해평화지대 별도회담추진
2007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서해평화협력 특별지대 설치를 위해서 정부가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습니다.
15일 종합기획단은 첫 회의를 연데 이어서, 오는 12월 초에는 북측과 별도 회담을 여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최고다 기자>
2007 정상회담을 통해 평화의 상징이자 경제협력의 중심으로 떠 오른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정부가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설치...
-
정상선언 오해와 진실
대다수 국민들이 `2007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인정하고 있습니다만, 일각에서는 회담 성과를 두고 왜곡된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김만복 국가정보원장은 이런 왜곡된 해석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면서 정면으로 반박했습니다.
이경미 기자>
2007년 남북정상회담이 가시적인 성과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이를 폄하하는 주장을 내놨습니...
-
남북, 17~22일 `이산상봉 실시`
남북은 17일부터 오는 22일까지 금강산 일대에서 이산가족상봉 행사를 엽니다.
이번 상봉에서는 17일부터 19일까지 1차로 북측 가족 97명이 남측 가족 400여명을 만난 뒤 20일부터 22일까지 남측 가족 94명이 북측 가족 250여명을 만나게 됩니다.
통일부는 이번 이산가족상봉에 납북자와 국군포로 가족이 빠지게 됐다면서 이는 특수이산가족 20명에 대...
-
해주 종합경제특구로 개발
2007 남북정상선언에 담긴 서해평화협력지대와 관련해서, 해주는 중장기적으로 중국의 선전과 같이 종합적 경제특구로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정형곤 연구위원은, 해주 지역은 중장기적으로 개성특구와 상호보완적 입장에서 개발돼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정 위원은, 개성은 대북 비즈니스 중심지로의 역할을 하고 해주는 농...
-
미, 내년초 한미FTA 비준안 처리
웬디 커틀러 한미FTA 미국측 수석대표는 내년 상반기에 미 의회가 한미FTA 비준안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쇠고기 시장 전면 개방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박영일 기자>
지난 14일 방한한 웬디 커틀러 한미FTA 미국측 수석대표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커틀러 대표는 15일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과 김원웅 국회 통...
-
건교부, 백두산 직항로 개설 협정 준비
건설교통부가 남북정상회담의 백두산 직항로 개통 합의에 따른 후속 조치로 남북 항공운송 협정체결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건교부가 16일 국회에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건교부는 백두산 직항로 개설과 항공운송 협정체결을 위한 협의안을 준비하고 있으며, 통일부 등과 조율이 끝나는 대로 북측과 논의에 들어갈 계획입니다.
남북은 지난 20...
-
`문화`로 하나 돼야
2007 남북정상회담의 특별수행원으로부터 회담 이모저모를 들어보는 연속기획 시간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힐 `北, 올해 말까지 우라늄 농축 중단`
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북한이 올해 말까지 우라늄 농축을 중단할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습니다.
힐 차관보는 16일 호주의 `시드니연구소`에서 행한 연설에서 북한이 영변 핵시설에서 이미 생산한 50kg의 플루토늄을 폐기하기로 합의한다면 한반도 평화에 관한 대화가 시작될 수 있다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