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6자회담 실무회의
북핵 6자회담 참가국들은 16일 중국 선양에서 비핵화 실무그룹회의를 열고 북핵시설 불능화의 개념과 구체적 방법에 대한 협의에 착수했습니다.
참가국들은 오전 양자협의에 이어 오후에는 첫날 전체회의를 갖고 영변 5MW실험용 원자로와 재처리시설 등을 불능화하는 기술적 방법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참가국 대표단은 회의 마지막날인 17일도 전체회의를 열어 ...
-
남북 정상회담에 바란다
지난 8일 남북정상회담 발표가 있은 지 벌써 일주일여가 지났습니다.
회담일까지는 앞으로 12일이 남아 있는데요.
이제는 회담 성사와 관련된 시비나 논란에서 벗어나서 회담의 성공을 위한 국민적인 지혜를 모을때가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 그런 의미에서 KTV에서는 `남북 정상회담에 바란다`라는 제목으로 특별포럼을 마련했습니다.
(...
-
핫이슈 리포트
정부는 8일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간의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평양에서 열린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남북정상회담은 남북 관계를 보다 높은 관계에로 확대 발전시켜 한반도 평화와 민족공동의 번영, 조국통일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나가는 데서 중대한 의의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데, 제2차 남북정상회담에 관해 자세히 ...
-
한반도 평화·번영의 주춧돌, 남북정상회담 - 이봉조 통일연구원장
지난 2000년 6월 50년 분단의 침묵을 깨고 역사적인 남북한의 첫 정상회담이 있었다.
그리고 7년이 지난 오는 8월 28일, 남북 정상이 다시 한번 평양에서 만난다.
그동안 한반도의 평화구축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정부는 이번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무엇을 기대하고, 또 어떤 준비를 하고 있을까.
북핵 문제와 남북한 경제협력에 대한 입장은 ...
-
남북정상회담 `14일 준비접촉`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첫 준비접촉이 14일 오전 10시에 개성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준비접촉에선 방북경로와 체류 일정, 방북단 규모 등을 논의합니다.
또, 준비접촉과 함께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통신과 보도, 의전, 경호와 관련한 협의도 함께 진행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
-
`남북 화상상봉` 이틀째 진행
제6차 남북이산가족 화상상봉행사가 이틀째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화상상봉에는 남.북 80가족 560여 명이 참가해서 서울, 부산, 수원 등 남한의 열두 개 상봉실과 평양의 열개 상봉실에서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만남을 갖습니다.
남북은 14일을 끝으로 6차 화상상봉 행사를 마친 뒤에 다음달 한가위를 전후해서 제16차 대면상봉과 제7차 화상상봉 행사를 ...
-
국제적십자사, `북한수해 긴급구호`
북한의 비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서 국제적십자사가 긴급구호에 나섰습니다.
국제적십자사는 지난 5일 시작된 비로 황해북도 곡산군 일대 주택 천여 채가 물에 잠기고 다섯 명이 실종되는 등 북한의 많은 지역에서 심각한 비 피해가 발생했다고 전했습니다.
국제적십자사는 북한 이재민에게 비옷과 담요, 식수 등으로 구성된 구호품 5백개를 지원했지만, 추가...
-
남북 경제공동체 형성이 중요
남북은 오는 28일부터 사흘간 평양에서 개최되는 남북정상회담에서 남측대표단이 경의선 도로를 이용해 왕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경호원들과 함께 전용차량을 이용해 방북한다는데도 합의했습니다.
남북은 14일 개성에서 정상회담 실무접촉을 갖고 육로방문과 대표단 규모 등에 합의했습니다.
대표단 규모는 지난 1차 정상회담 때 보다 많은 202명으로...
-
국제적십자사, 북한수해 긴급구호
북한의 비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서 국제적십자사가 긴급구호에 나섰습니다.
국제적십자사는 지난 5일 시작된 비로 황해북도 곡산군 일대 주택 천여 채가 물에 잠기고 다섯 명이 실종되는 등 북한의 많은 지역에서 심각한 비 피해가 발생했다고 전했습니다.
국제적십자사는 북한 이재민에게 비옷과 담요, 식수 등으로 구성된 구호품 5백개를 지원했지만, 추가...
-
남북 화상상봉 이틀째 진행
제6차 남북이산가족 화상상봉행사가 이틀째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화상상봉에는 남북 80가족 560여 명이 참가해서 서울, 부산, 수원 등 남한의 열두 개 상봉실과 평양의 열개 상봉실에서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해 만남을 갖습니다.
남북은 14일을 끝으로 6차 화상상봉 행사를 마친 뒤에 다음달 한가위를 전후해서 제16차 대면상봉과 제7차 화상상봉 행사를 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