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北외무성, “경수로 제공 즉시 NPT 복귀”
경수로 문제가 공동성명 발표 이후에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6자회담 타결 뒤 침묵하던 북한측이 경수로를 먼저 제공해야 NPT에 복귀할 수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담화를 통해 미국이 경수로를 제공하는 즉시 NPT에 복귀하고 국제원자력기구 IAEA와 담보협정을 체결한 후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크리스토퍼 힐 미 ...
-
한반도 평화체제 발판 마련
6자회담 참가국들은 북한의 모든 핵 포기와 그에 따른 북-미 관계 정상화 추진, 그리고 한반도의 비핵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습니다.
북한 핵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습니다.
6자회담 참가국들은 이번 공동성명을 바탕으로 향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협의해 나가기로 했으며,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를 위한 별도의 ...
-
북핵회담 타결, 6개항 공동성명 채택
<제4차 6자회담 2단계 회의 채택 합의문 전문>
2005년 제4차 6자 회담이 2005년 7월 26일부터 8월 7일까지, 9월 13일부터 9월 19일까지 6개국이 참석한 가운데, 남북한과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이 4차 6자 회담을 베이징에서 열었다.
우다웨이, 김계관, 사사에, 송민순, 알렉셰예프, 힐 차관보는 이들이 각국의 수석대표로서 회...
-
통일부 장관, `한국 외교의 승리`
6자회담의 타결에 대해 우리 정부는 한국 외교의 승리라는 평가를 통해서 공식적인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장인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9월19일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사무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베이징 4차 6자회담 공동성명 합의에 대해 “냉전구조와 동북아 정세불안의 핵심 요소가 걷어짐으로써 한반도가 탈냉전화하며 평화회담이 시작될 수 있을...
-
`공동성명` 의미와 향후 과제
6자회담을 통한 북핵 협상의 극적타결은 단순히 핵문제를 타결했다는 것을 넘어서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주춧돌을 쌓았다는 점에서도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세종연구소의 홍현익 연구원 연결해서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전화연결>
-
6자회담 북핵해결 전기 마련
이번 공동성명은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새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특히, 4차 6자회담 타결과정에서 우리 정부의 외교력이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6자회담 참가국들이 공동성명에 극적으로 합의하면서 북한 핵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커다란 전기가 마련됐습니다.
북한이 핵무기뿐만 아니라 기존 핵프로그램의 완전 폐기를 ...
-
북핵타결, 평화체제 디딤돌을 놓다 등
-
2005 민화협 통일포럼 - 4차 6자회담 전망과 타결방향
-
남북 “한반도 평화보장 적극 노력”
제16차 장관급회담 마지막 날인 9월16일 남북 대표단은 한반도 평화보장을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남북 대표단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6개 항을 담은 공동보도문을 발표했습니다.
남북은 한반도의 공고한 평화 보장을 위해 노력하고,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실천적인 방안들을 적극 모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와함께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오는 11월...
-
장관급회담 6개항 합의 타결
장관급회담 마지막 날인 9월16일 남북대표단은 6개항의 합의 내용을 담은 공동보도문을 발표했습니다.
남북 대표단은 한반도의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적극 노력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올해 안에 이산가족 추가 상봉을 실시하고, 오는 12월에는 제주도에서 제 17차 장관급회담을 열기로 했습니다.
제 16차 장관급회담 마지막 날인 16일 남북 대표단은 한반도 평화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