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2018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업무보고
2018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업무보고
-
감염병 대응 강화…달걀 등 식품 안전 개선
국민 건강 확보를 주제로 한 업무보고에서 보건복지부는, 감염병 대응 역량과 권역외상센터 지원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달걀, 생리대 등 식품과 생활용품의 안전을 철저히 지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국민 안전과 건강에 대해 5개 부처가 정부업무보고에 나섰습니다.
복합적 요인인 건강 문제에 범정부로 '원 헬스' 대응...
-
감염병 대응 강화…달걀 등 식품 안전 개선
한편 국민 건강 확보를 주제로 한 다섯 개 부처의 정부업무보고에서, 보건복지부는 감염병 대응역량과 권역외상센터 지원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식약처는 달걀, 생리대 등 식품과 생활용품 안전을 철저히 지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국민 안전과 건강에 대해 5개 부처가 정부업무보고에 나섰습니다.
복합적 요인인 건강 문제에 범정부로 '원 헬스...
-
미세먼지 초비상…마스크 잘 알고 써야
요즘 미세먼지가 연일 기승을 부리면서 사람들을 괴롭히고 있는데요.
이렇다보니 마스크를 쓰고다니는 사람들이 많지만 잘 알고 써야 좀 더 효과적으로 미세먼지를 막을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를 막기 위한 마스크, 어떻게 하면 더 나은 효과를 볼 수 있을지 박다효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대낮인데도 뿌연 잿빛 하늘, 지난주 초미세먼지로 뒤덮인 서울의 모습입...
-
다이어트 해외직구 일부 제품, 마약물질 검출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서 다이어트나 성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광고하는 제품 구매하는 분들 계실 텐데요.
이들 제품은 정식수입검사를 거치지 않고 들어오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동물용 마취 회복제로 사용되는 요힘빈.
고혈압과 환각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입니다.
마약이나 각성제 원료인 베타메틸페닐에틸아...
-
다이어트 해외직구 일부 제품, 마약물질 검출
다이어트 효과가 좋다거나 성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광고하는 제품을 해외직구로 사는 분들 많은데요.
그런데 정식 수입검사를 거치지 않고 국내로 들어오는 만큼,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동물용 마취 회복제로 사용되는 요힘빈.
고혈압과 환각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입니다.
마약이나 각성제 원료인 베타메...
-
도시와 농촌이 행복한 로컬푸드 운동 '활발'
건강하고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내 이웃이 생산한 먹을거리를 지역주민이 소비하는 로컬푸드가 전국적으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장진아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세종시에 문을 연 로컬푸드 직매장입니다.
생산자 이름이 붙여진 농산물이 가지런하게 진열돼 있습니다.
모두 인근에서 수확한 농산물 이른바 로컬푸드입니다.
...
-
도시와 농촌이 행복한 로컬푸드 운동 '활발'
건강하고 안전한 먹을거리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내 이웃이 생산한 먹을거리를 지역주민이 소비하는 로컬푸드가 전국적으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장진아 국민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세종시에 문을 연 로컬푸드 직매장입니다.
생산자 이름이 붙여진 농산물이 가지런하게 진열돼 있습니다.
모두 인근에서 수확한 농산물 이른바 로컬푸드입니다.
...
-
식약처 "시중 생리대·기저귀 안전하다" 최종 결론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에서 판매되는 생리대에 들어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인체에 무해한 수준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식약처는 오늘 "생리대에 존재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 VOCs 74종에 대해 위해평가를 실시한 결과, VOCs 검출량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고 밝혔습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기저귀 370개 품목을 조사...
-
계란에 '산란일자' 의무 표시…식품안전 종합대책 확정
올해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큰 혼란을 겪었는데요.
정부가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식품안전개선 종합대책'을 확정했습니다.
보도에 신국진 기자입니다.
지난 8월 살충제 계란 파문이 국내를 강타했습니다.
유럽에서 살충제 계란 파문이 확산 된 가운데 국내산 계란에서도 독성 물질이 검출된 겁니다.
정부는 이런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식품안전 개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