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개 대학 등록금·재정 운용 실태 조사
대학 등록금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등록금과 재정 운용 실태 조사가 착수됐습니다.
감사원은 전국 30개 대학의 등록금 인상률과 적립금 비율 등에 대해 집중 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정은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대학 등록금 인상 원인을 밝히기 위한 대학의 재정 운용 실태 예비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감사원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합동으로 205명의 ...
방송일자 : 2011.07.09
-
'약국외 판매' 약사법 개정안 이달 중 입법예고
의약품의 약국외 판매를 위한 절차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달 중 개정 약사법을 입법예고하고, 9월 안에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입니다.
감기약 등 가정상비약을 약국외의 장소에서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약사법 개정안이 이달중으로 입법 예고됩니다.
복지부는 입법예고전에 오는 7일 전문가 간담회, 15일 공청회 등을 통해 대상...
방송일자 : 2011.07.09
-
'2인 가구' 비중 24%···'4인 가구' 추월
통계나 비용을 산출할 때 '4인 가구 기준'이라는 말이 참 익숙하죠.
하지만, 이제 우리나라 전체 가구 유형 가운데 4인 가구보다 2인 가구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경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구 형태가 4인 가구에서 2인 가구로 재편됐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방송일자 : 2011.07.09
-
키스방 등 신·변종업소 청소년 유해업소 지정
<!--StartFragment-->단속 근거가 없어 유흥가를 중심으로 독버섯처럼 퍼져 나갔던 유사 성매매업소들에게 정부가 철퇴를 들었습니다.
정부는 키스방이나 유리방 등 신?변종 업소들을 청소년 유해업소로 지정하고, 집중 단속할 계획입니다.
신혜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키스를 하거나 대화만 나눈다는 일명 '키스방'입니다.
좁은 복도를 따라 들어가봤...
방송일자 : 2011.07.09
-
하반기 경제정책 '서민물가 안정' 총력
주간 정책 하이라이트 17회
방송일자 : 2011.07.02
-
하반기 경제정책 '서민물가 안정' 총력
정부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서민생활을 힘들게 하는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정부의 정책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이동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부는 하반기 거시정책의 우선순위를 물가안정에 두고, 총수요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현재 예산규모에서 긴축재정을 유지하고, 내년 예산 편성 때도 지출 증가율을 낮추는 등...
방송일자 : 2011.07.02
-
경제체질 개선, 지속가능 성장 토대 마련
<!--StartFragment-->정부는 올해 성장률 전망을 5%에서 4.5%로 낮추고, 물가는 3%에서 4%로 현실화했습니다.
그 만큼 물가 안정의 의지가 강력하다는 얘긴데요.
하지만, 경제체질 개선을 통한 지속 성장의 토대를 닦는 작업도 흔들림 없이 진행됩니다.
계속해서 강석민 기자입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
방송일자 : 2011.07.02
-
한·EU FTA 잠정발효···"한·EU 공동번영 기여"
유럽연합, EU와 자유무역협정이 잠정 발효됐습니다.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벨기에 브뤼셀과 서울에서 열렸습니다.
보도에 이해림 기자입니다.
협상을 시작한지 50개월만에 인구 5억명의 최대 단일 경제권, 유럽연합의 빗장이 열렸습니다.
발효를 기념하기 위해 벨기에 브리셀에 이어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마련된 자리.
협정문 번역 오류 문제와 SSM 규제법 ...
방송일자 : 2011.07.02
-
상반기 무역 사상 최대···1조달러 순항
올 들어 지난달까지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가 반기별로는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무역규모 1조달러 달성도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달 무역수지가 3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면서, 17개월 연속으로 흑자 행진을 이어갔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수출은 작년보다 24% 증가한 2천754억 달러, 수입은 2...
방송일자 : 2011.07.02
-
2015년까지 모든 학교 교과서 디지털로 전환
<!--StartFragment-->앞으로는 학생들이 무거운 책가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가 2015년까지 모든 학교에 종이 교과서 대신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할 계획인데요.
4년뒤 달라질 교실풍경을 신혜진 기자가 미리 가봤습니다.
서울의 한 초등학교 사회수업.
칠판대신 대형 모니터 화면이 등장하고, 선생님은 간단한 터치로 수업...
방송일자 : 2011.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