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통제·감기약·소화제 등 약국외 판매 추진
의약품의 '약국외 판매' 도입을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방안이 나왔습니다.
약사의 전문적 지식 없이도 환자 스스로 선택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화제 등이 허용될 것으로 보이는데, 지자체장이 지정하는 곳에서만 판매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은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해열진통제와 감기약, 소화제, 파스 등이 약국 이외의 장소에서 판매되는 의약품에 포함될 ...
방송일자 : 2011.07.16
-
불법 '비비탄총' 퇴출···정부 합동단속
이른바 불법 '비비탄총'으로 인해 어린이는 물론 성인까지 크게 다치는 경우가 많은데요.
방학을 맞아 정부가 전국적인 합동 단속에 들어갑니다.
김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서울 시내의 한 문구도매시장.
단속반이 아이들이 좋아하는 장난감 총이 안전기준에 맞는지 꼼꼼히 살펴봅니다.
최익재 / 정부 합동단속반
"안전기준 표시인 KC마크, 사용 대상연령을 ...
방송일자 : 2011.07.16
-
농지연금 큰 호응···상반기 775명 가입
올해 초 도입된 농지연금이 고령 농업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당초 올 한 해 가입자 예상치를, 이미 상반기에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이동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올해 일흔아홉살인 한상천씨.
아내와 함께 노후를 보내는 한씨는, 마땅한 소득이 없어 자식들의 도움을 받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초 농지연금에 가입한 뒤 매달 1백여만원의 생활...
방송일자 : 2011.07.16
-
공군, 하반기에 첫 공중급유 훈련 실시
전투기의 회항 없이 공중에서 급유를 하게 되면 작전거리를 대폭 늘릴 수 있는데요.
우리 공군이 처음으로 우리 상공에서 공중급유 훈련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강필성 기자입니다.
미군 18비행단 소속 대형 공중급유기 KC-135가 이륙합니다.
미 7공군 소속 F-16전투기 편대가 작전을 수행 중인 상공.
비행 속도를 맞추며 접근한 KC-135는 공중급유...
방송일자 : 2011.07.16
-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단 '금의환향'
주간 정책 하이라이트 18회
방송일자 : 2011.07.09
-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단 '금의환향'
<!--StartFragment-->남아공 더반에서 평창의 승리를 이끈 평창 유치 대표단이 지난 8일 입국했습니다.
공항까지 마중나간 수백명의 환영단은 이들의 귀국을 열렬히 환영했습니다.
팽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2018 동계올림픽 유치권을 거머쥔 대표단이 공항에 들어선 순간, 수백명의 환영인파들이
'예스 평창'을 외쳤습니다.
모두들 대표단의 그...
방송일자 : 2011.07.09
-
성공 개최 위해 '드림 프로젝트' 가동
7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정부도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5천2백억원의 예산을 들여, 동계스포츠 취약종목의 선수를 적극 육성하는 등 또 하나의 드림 프로젝트를 가동할 계획입니다.
계속해서, 이예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지난 10년간 동계올림픽을 준비해온 김진선 특임대사는 이번 동계올림픽 유치를 '꿈의 승리'라고 말했습니...
방송일자 : 2011.07.09
-
평창 동계올림픽 경제효과 65조원 전망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게 됨에 따라 약 65조원의 막대한 경제적 이익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평창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송보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전쟁의 나라, 가난한 나라로 인식돼 온 대한민국의 이미지를 단번에 바꾼 88 서울올림픽.
올림픽이 열린 16일 동안 수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찾았고, 전세계 104억명이 TV를 통해 경...
방송일자 : 2011.07.09
-
내년 예산 332조원 요구···7.6% 증가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각 부처별 요구안을 발표했습니다.
모두 332조 6천억원으로 주로 연구 개발과 복지, 교육 분야가 늘었고, 평창 경기장 건설 예산도 반영됐습니다.
이동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부 각 부처가 요구한 내년도 예산과 기금의 총지출 규모는 332조 6천억원으로, 올해보다 7.6% 증가했습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연구개발 분야가...
방송일자 : 2011.07.09
-
저축은행 경영진단···부진시 과감히 퇴출
심각한 부실 사태를 낳은 저축은행에 대한 금융당국의 옥석가리기가 시작됐습니다.
정부는 9월까지 경영진단을 실시해, 스스로 생존능력이 없는 저축은행은 과감히 퇴출시킨다는 방침입니다.
강석민 기자입니다.
금융당국이 여든다섯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2차 구조조정을 위한 사전작업인 경영진단에 들어갑니다.
이번에 경영진단을 받는 여든다섯개 저축은행은 지난 상...
방송일자 : 2011.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