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해와 `진실`
한미FTA 협정문이 공개된 이후, 상당 부분아 과장되거나, 오해에서 비롯된 기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의약품과 지적재산권 분야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알아봅니다.
이해림 기자>
한미FTA 협정문 내용이 공개되면서 의약품 분야에서는 `의료비 급등`이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특히 일부에서는 국내 약값이 미국의 약값만큼 인상되거나, 큰 폭으로 상승...
방송일자 : 2007.05.29
-
`주권 포기` 근거없어
한미FTA 협정안과 관련된 자동차 세제 문제를 거론하면서 우리 정부가 조세주권을 포기한 것이 아니냐는 등 사실과는 거리가 먼 보도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동차 세제와 세이프가드 문제를 짚어봅니다.
이정연 기자>
한미FTA를 통해 배기량을 기준으로 부과하고 있는 자동차 세제를 개선한 것을 두고 조세주권을 포기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
방송일자 : 2007.05.29
-
7월 국내 최초 `탄소펀드` 출시
국내 최초로 탄소펀드가 오는 7월에 출시됩니다.
기획예산처와 산업자원부는 에너지관리공단을 통해 2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출자해, 모두 2천억원 규모의 탄소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기획예산처 관계자는, 1호 펀드는 일반기업이나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할 예정이지만,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 2호 펀드부터는 일반인의 참여도 가능할 것으로...
방송일자 : 2007.05.29
-
안전 `이상무`
우리기업들의 해외진출이 많이 늘어나면서 아프리카등 일부지역에서는 우리 근로자들의 피랍 사건이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해외에 진출한 기업들의 안전을 위해서 정부가 대비책을 내놨습니다.
최고다 기자>
정부가 해외의 위험지역에 진출하는 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안전 대책을 내놨습니다.
가칭 ‘해외진출 기업 안전 지원단’.
다음달 국가정보원 테러정보 통...
방송일자 : 2007.05.29
-
`1.5배` 빠른 상승
해를 거듭할수록 기후 변화를 실감하게 되는데,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 동해의 수온이 세계의 수온보다 1.5배 더 빨리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현구 기자>
앞으로 수 십년 후면 우리 식탁에서 김을 찾아볼 수 없게 될 지도 모릅니다.
동해의 바닷물 온도가 세계 어느 바다보다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기 ?문입니다.
세계 해양의 수온이 연평균...
방송일자 : 2007.05.29
-
영상뉴스
청와대에 마련된 몽골 민속가옥,게르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07.05.29
-
출발! 국정투데이 (351회)
전도연,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 이익되면 추가협의 / 농업, 횟수 제한 없다 / 시장충격 최소화 / 과일.화훼.김치 등 농식품 수출 호조 / 독일, `원스톱 취재지원`으로 알권리 신장 / 기자실 없으면 언론 탄압? / 휘발유 사상 최고가 경신 `초읽기` / 정부, 석유제품 가격조사제도 개편 검토 / 문화산업의 신성장 동력화 / 부실 감정 퇴출 / 한번으로 끝 / 금융감독 행정지도 법규화 / 생활정책 Q & A / 순간포착
방송일자 : 2007.05.28
-
전도연,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영화배우 전도연씨가 현지시각으로 27일 오후 프랑스 칸에서 열린 제60회 칸 국제영화제 시상식에서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으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 여배우가 세계 3대 영화제인 칸,베를린,베니스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탄 것은 1987년 영화 `씨받이`로 강수연씨가 베니스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이후 20년 만입니다.
칸 영화제 여우주...
방송일자 : 2007.05.28
-
이익되면 추가협의
한미FTA 협정문이 공개된 이후 미국 측에서 추가협의 의사를 밝혔습니다.
정부는 이익이 되면 추가협의에 응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유진향 기자>
미 무역대표부가 한미FTA 협상의 추가 협의를 간접 시사했습니다.
스티브 노튼 미 무역대표부 대변인은 노동과 환경기준을 강화한 신통상정책을 법조문화하는 작업이 막바지 단계라며 이번주 중에는 완료될 것이라고...
방송일자 : 2007.05.28
-
농업, 횟수 제한 없다
지난 25일 공개된 한미FTA 협정문 내용 가운데 세이프가드 발동 횟수 제한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미국보다 강한 공산품은 횟수제한이 오히려 우리에게 유리하고, 우리가 약한 농산물은 횟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우려할 문제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박영일 기자>
한미FTA 협정문이 공개되면서 세이프가드 발동 횟수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습...
방송일자 : 2007.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