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반말과 존대 말에 대하여..**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김 영희(김 영**)
등록일 : 2003.01.18 11:48

반말과 존대 말

☆★☆ 반(半)말
(언) 상대 높임법에서, 상대를 높이지 않고 낮추는, 해체의 비격식체의 말.
해라체와 하게체의 중간 등급에 해당하며, 높임을 나타내는 조사'요'와 결
합되는 특성을 가짐.
보통, 종결 어미 '-아/어', '-게', '-지', '-네', '-데', '-는', '-는군', '-거
든', '-는데', 등이 쓰이며, 때로 완결성이 없는 구나 절의 형태로 나타내기
도 함.
합쇼체나 하오체나 해요체가 아닌, 상대를 낮추는 말은 두루 이르는 말.//
언제 봤다고 ~이냐? 반말하다(동사,자동사,여불규칙)반말의 말씨를 써서
말하다.

☆★☆ 존댓말(-댄-) 높임말
존대(尊待) 높이 받들어 대접하는 것. //~를 받다. 상대에게 높이는 말씨
로 대하는 것. 존대하다.// [존대하고 뺨맞지 않는다] 남에게 공손하면 욕
이 돌아오지 않는다.
존대어(尊待語) 남을 존대하여 쓰는 말.

한국인의 한국말에는 존칭어와 반말이 존재합니다.
친한 사이에서는 반말이 더 자연스럽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런데 처음 본 사이인 경우일 때, 짧은 듯한 반(半)말이 괜히 기분 나쁘게
느껴집니다.
내가 뭐 친한 사이라고? 란 느낌과 푸대접이란 느낌에 단어도 떠오릅니다.
보통 처음 본 능력 있는 사람이나 나이 든 분을 보게 되면 존칭어가 저절로
튀어나옵니다.
또한 보통 친한 사이에서는 존칭어를 빼기도 합니다.
특히 나이가 자기보다 어리다 싶은 초면 사이에서도 반말이 사용됩니다.
존칭어를 우연히 윗사람에게 들으면 좋아지는 것을 누구나 경험으로 느낄
것입니다.
나이 어린 사람이 우울해 있을 때 어른도 '요'란 두루존칭어를 사용해서 어
린 사람의 심리를 위로하는 그런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존칭어와 반말인 낮춤말을 우리한국인은 잘 기억해서 자주 잘 사용하는 한
국사회를 만드는 운동을 벌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한글의 반말과 존칭어의 활용 응용 법에 대한 규칙의 예를 들어보면?

받침 있는 말들 공식- 동사,형용사= ①기본형 ②아/어/ ③아/어+요

먹다-먹어-먹어요, 막다-막아-막아요, 묵다-묵어-묵어요, 묶다-묶어-묶어
요, 녹다-녹아-녹아요, 낚다-낚아-낚아요, 깎다-깎아-깎아요, 작다-작아-
작아요, 웃다-웃어-웃어요, 썩다-썩어-썩어요, 섞다-섞어-섞어요, 속다-속
아-속아요, 벗다-벗어-벗어요, 닫다-닫아-닫아요, 걷다-걸어-걸어요, 듣
다-들어-들어요, 깨닫다-깨달아-깨달아요, 입다-입어-입어요, 덥다-더워-
더워요, 춥다-추워- 추워요, 알다-알아-알아요, 울다-울어-울어요, 살다-살
아-살아요, 놀다-놀아-놀아요, 끊다-끊어-끊어요, 싫다-싫어-싫어요, 끓
다-끓어-끓어요, 잃다-잃어-잃어요, 읽다-읽어-읽어요, 얽다-얽어-얽어
요, 밝다-밝아-밝아요, 맑다-맑아-맑아요, 굶다-굶어-굶어요, 젊다-젊어-
젊어요, 삶다-삶아-삶아요, 좋다-좋아-좋아요, 쌓다-쌓아-쌓아요, 넣다-넣
어-넣어요, 낳다-낳아-낳아요, 긋다-그어-그어요, 짓다-지어-지어요, 잇
다-이어-이어요, 붓다-부어-부어요,

받침 없는 말들 공식 - 동사,형용사= ①기본형 ②아/어/ ③아/어/+요

가다-가-가요, 자다-자-자요, 사다-사-사요, 배우다-배워-배워요, 추다-
춰-춰요, 바꾸다-바꿔-바꿔요, 지우다-지워-지워요, 태우다-태워-태워요,
하다-해-해요, 보다-봐-봐요, 오다-와-와요, 주다-줘-줘요, 되다-돼-돼요,
끄다-꺼-꺼요, 나쁘다-나빠-나빠요, 예쁘다-예뻐-예뻐요, 쓰다-써-써요,
깨다-깨-깨요, 빼다-빼-빼요, 피다-펴-펴요, 지다-져-져요, 마시다-마셔-
마셔요, 아끼다-아껴-아껴요, 때리다-때려-때려요, 치다-쳐-쳐요, 비다-비
어-비어요, 사라지다-사라져-사라져요, 나타나다-나타나-나타나요,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