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방송 편성기획팀에 제안했으나
아무 반응이 없어서
특별히 K-TV에 다시 제안합니다.
교육방송 프로그램 기획 제안서
백성주 master@yahofile.com 583-8755 동아일보 서초지국 신문배달원
1. 프로그램 제목(가칭) : 교육청문회-내가 교육부총리라면
2. 프로그램 기획의도 :
교육개혁은 교육문제의 해결과 교육이상의 실현이라는 두 가지 목표가 있
다. 누가 교육부총리가 되든지 간에 교육개혁을 성공시켜야 하는 입장에 놓
이게 된다. 그동안 임명된 교육부장관들은 자격은 훌륭하지만 교육개혁능
력은 없어서 결국 교육개혁에 실패했다.
교육개혁능력이란 교육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 교육부총리
는 아니지만 갖가지 교육개혁방법을 궁리해 낸 사람들이 더러 있는데, 교육
부총리에게 이 방법을 가르쳐 드리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만나기도 쉽지 않
고, 서류를 작성해서 보내면 참고하겠다는 답장만 올 뿐이다.
한편 텔레비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토론은 대개 문제점만 지적하다가 끝난
다. 아무 쓸모도 없는 문제점 지적은 열심히 하지만, 정작 필요한 해결'방
법'에 관한 토론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토론이 끝나면 그저 답답
하기만 하고 후련하지 않다.
교육개혁'방법'만을 토론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의 방식처럼 여러 명의 패널이 나와서 토론이 진행된다면 토론
이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많다. 교육문제는 종류가 많고, 한 문제에 대해서
도 여러 관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론이기는 하되 혼란을 일으키지
않고 밀도 있게 진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 '교육개혁방법제
안발표-반론-답변-투표' 방식의 청문회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교육개혁방법에 가장 관심을 보여야 할 사람은 다름 아닌 교육부총리다.
이 프로그램에서 교육개혁방법을 제안발표할 사람들을 교육부총리로 부르
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정책의 최고 결정권자인 교육부총리가 이 프
로그램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3. 프로그램 진행방식 :
<제작전 단계>
.교육문제 하나를 선정하여 인터넷에 게시한다. (예:과외문제 해결법)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아는 사람은 인터넷으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내용을 공개하며, 이 제안에 대한 반론이나 문제제기 역시 공개적으
로 받는다.
.반론이나 문제제기에도 불구하고 제안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을 출연자
로 선정한다.
.반론을 제기한 사람도 출연섭외한다.
<제작 단계>
.방청객과 반론자는 같이 앉는다.
.교육개혁방법을 제안할 사람들은 별도의 자리에 앉는다.
.사회자의 진행에 따라 청문회가 시작된다.
.첫 번째 교육부총리가 연설대 앞에 서서 이름소개와 자신의 방법을 발표한
다.
.반론자들이 반론 연설대 앞에 나와서 줄지어 서서 순서대로 반론을 시작한
다.
.교육부총리는 반론에 대해서 해명하거나 설명을 보충하거나 답변한다.
.반론과 해명이 끝나면 반론자는 자신의 자리로 돌아가 앉는다.
.반론과 답변이 완전히 끝나면 교육부총리의 제안에 대한 찬반투표가 시행
된다. 이 방법을 실행하는 것이 좋다면 찬성으로, 실행하지 말아야 하면 반
대로 거수한다.
.반론과 답변 도중에 교육부총리는 스스로 자신을 해임하여 퇴장할 수 있
다.
.사회자는 참석하지 못한 반론자를 대신해서 반론을 제기할 수도 있다. 이
대목을 확대해석해서, 사회자가 반론자 전부를 대신해서 하나 하나 질문하
는 방식을 채택해도 된다.
.두 번째 교육부총리가 나와서 위 과정을 되풀이 한다.
.토론이 종결되면 다음 주의 예고 등의 사항을 발표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한
다.
.제안발표와 반론과 답변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집에서 미리 발표연습
을 하고, 정해진 반론을 하도록 하며, 원고를 가지고 출연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제안자를 교육부총리로 대우하여 존중하는 경칭과 높임말을 사용하여 토
론한다.
.여러 교육문제에 대한 방법을 제안할 사람은 다음에도 또 출연할 수도 있
다.
<제작후 단계>
.교육부총리의 제안이 찬성이 많아서 채택된 경우, 제안에 대해서 상금을
지급한다. 상금은 금액이 크지 않더라도 대중의 관심과 의욕을 불러일으키
게 될 것이다.
.교육청문회의 내용(방법과 반론)을 요약하여 문서로 만들고 인터넷에 게시
한다.
4. 맺음말
좋은 방법 올바른 해결방법을 찾지 못하면 교육개혁은 또 실패할 것이다.
가장 심각한 교육문제인 과외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는 교육부
총리는 실패하기 전에 미리 스스로 사퇴해야 마땅하다. 교육청문회는 교육
부총리를 모욕하고 사퇴압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좋은 방법을 교육부총
리에게 공개적으로 알려 드리는 역할을 목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