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시시시시 時施始是 시비시비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시 비(시 비**)
등록일 : 2003.04.18 22:35
시시시시

1시간(時間) 2시절(時節) 3시청(視聽) 4시작(始作) 5시도(試圖) 6시어(詩
語) 7시비(是非) 8시장(市場) 9시체(屍體) 10시설(施設)


1)시간(時間-때 사이=어느 때부터 어느 때까지의 사이. 일정한 길이의 동
안.)
1. 의식적인 활동을 할 때는 습관적으로 현시점·시간(時間)이 어느 때일까?
하는 궁금증이 생기는 것과 안 생기는 차이는 무엇일까요?

2)시절(時節-때 마디=철. 좋은 시기. 사람의 일생을 구분한 한동안.)
2. 지난 어린 시절(時節)에 기쁘고, 슬퍼 울고, 두근거리고, 설레고, 당황하
고 초조하던 불안에 순간들이 잊혀지지 않고 성인이 되어서도 가끔 왜 떠오
를까요?

3)시청(視聽-보다 듣다=눈으로 보고 귀로 들음.)
3. 라디오를 즐겨 청취하는 시절이 있었지요. 과학진보로 텔레비전 시청(視
聽)과 컴퓨터 인터넷을 합니다. 신문화 21세기는 모든 사람들을 민주문화인
들로 만드는 발달시대로 가능성이 많아 희망이 부풀어지는 듯 합니다.

4)시작(始作-처음 짓다=처음으로 함. 어떤 행동이나 현상의 처음.)
4. 한국속담-시작(始作)반이다 란 풀이=일은 처음에 시작하기가 어렵지, 일
단 시작하면 끝마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는 말. = 속담의 어긋난 일들
은 무수히 있어 보입니다.

5)시도(試圖-맛보다 그리다=무엇을 실현해보려고 계획하거나 행동함.)
5. 행동에는 의식과 무의식적인 것이 어울러진다고 봅니다.

6)시어(詩語-말 말씀=시에 쓰는 말. 시인의 감정을 나타낸 함축성 있는
말.)
6. 시인의 시어(詩語)는 많은 문학인들과 지식인들이 찬미를 합니다. 그 시
어가 국민들의 의식개혁과 민주사회에 영향이 얼마나 되는 걸까? 헤아려보
자고 생각합니다.

7)시비(是非-옳다 아니다=옳고 그름. 옳고 그름을 따짐.)
7. 시비(是非)를 지나치게 따지면 누군가"잘났어 정말" 이란 말이 느껴짐은
연약한 정신력소유자로 여겨집니다.

8)시장(市場-시장 마당=여러 가지 상품을 팔고 사는 장소. )
8. 노점시장(市場)에서 물건 살 때에 상인들의 비판·평가·대화의 신랄한 언
어표현과 시선조차 무서웠던 상거래 경험이 아련히 느껴져 옵니다.

9)시체(屍體-주검 몸=송장. 죽은 사람의 몸뚱이.)
9. 시체는 '무섭다'란 어려서의 분위기표현으로 성인이 되어도 영화에서 으
스스한 음악과 숨이 멎은 인간신체는 얼떨떨한 공포로 변환됩니다.

10)시설(施設-베풀다 베풀다=베풀어서 갖춤. 또는 그 설비.)
10. 영리한 사람일수록 보다 좋은 환경 시설 속에서 영위하려는 본능이 있
을 거란 생각을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