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안타깝군요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문화제국(문화제**)
등록일 : 2002.08.01 12:13
21c가 여성에게 유리한면이 있다는건 당연한 말이지만 그건 논외의 이야
깁니다.

역시 서양식 교육을 받은 분들이라 틀이 그쪽으로 고정이 되었다는 느낌을
강력하게 받았습니다.

한단고기에 '차별없는 어울림의 사회'의 기술이 있었다는것 아십니까? 30%
가 소리를 내는 최소한의 입지라는것 또한 서양사람들의 유추와 결론입니
다. 아무리 서구화 되었더라도 한국은 한국만의 정신세계가 있는것이고 그
것이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를 논하는데서 너무 일방적으로 왜곡하고 있다
는데에 대한 반발입니다.

사회적 입지에서 소수여론의 힘이 모든 여론의 힘은 아닙니다. 남성과 모든
면을 같은 입장에 놓고 보기때문에 그런 발상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엄연
히 여성과 남성은 생물학적으로도 다릅니다. 다른 입장에서 보면 집안에서
어머니의 소리는 아버지 못지않은 강력한 힘이 있습니다. 일률적인 한가
지 시선으로 모든것을 보면 평가가 제대로 되지는 않습니다. 사회적 입지에
서 그렇게 평가한것이라면 여성의 사회참여도가 낮은것과 여성의 권한과
의 연관을 너무 크게 잡은것은 아닐까요? 여성의 생산적인 측면을 잘 활용
하자는 취지는 좋으나 여성과 남성의 차이는 분명히 있는것이고 그것이 차
별을 의미하는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여성의 사회참여 여론형성은 또다른
여성의 불편함을 가중시킬지도 모를일 입니다. 실제로 여성이 사회활동을
간절히 원하는 비율은 높지 않습니다. 사회적 높은지위를 희망하는 여성들
의 입장에서 일률적으로 평범한 여성을 주입교육 시키는것은 아닐까요?

그리고 그 부작용은 점차 커지리라고 봅니다. 실제 생활여건이 좋은 미국에
서는 집으로 다시 돌아가는 여성이 증가한다고 들었습니다. 아이의 건강과
교육이 마음에 걸리기 때문이죠. 적당한 수준에서 여유와 의지가 있을때 자
발적인 사회참여가 긍정적 파워를 낼겁니다. 남성과 똑같은 입장의 사회참
여는 부작용이 많다는 말입니다.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