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교육격차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8일 교육부는 2006년도 주요 업무계획을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교육부는 날로 심화되고 있는 사회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낙후지역, 저소득층, 소외계층의 교육격차 해소를 올해 최우선 과제로 선정했습니다.

교육부가 올해를 교육격차 해소 원년으로 선포했다고 합니다.

우리 사회의 최대의 화두는 사회 양극화일 겁니다.

교육부가 교육격차 해소를 제 1 목표로 삼은 것은 교육격차 해소가 우리 사회에서 가난이 되물림되는 악순환을 끊기 위한 최상의 해법이라는 판단 때문입니다.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안전망 구축은 크게 낙후지역과 저소득층, 소외계층 이렇게 세 영역으로 구분돼 체계적으로 추진됩니다.

우선 농산어촌에 살더라도 안심하고 자녀교육을 시킬 수 있도록 ‘1군 1 우수고’ 원칙하에 명문고를 집중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또 평생학습도시를 올해 15개 신규 지정해 총 48개의 학습도시를 조성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취업을 지원하고 성인들에게 재교육의 문을 열어준다는 방침입니다.

저소득층 자녀들을 위해서는 대학생 멘토 등 자원봉사자를 적극 활용해 방과 후 보육과 교육을 집중 지원합니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와 서울대, 그리고 관악구청, 동작구청은 8일 오후 3시부터 저소득층 자녀 멘토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가질 예정입니다.

교육부는 이외에도, 교육격차 해소사업을 총괄 관리하는 기구를 출범시키고 교육격차지수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실업고라는 명칭이 사라진다고 합니다.

102년만에 실업계 고등학교라는 이름이 특성화계 고등학교로 바뀝니다.

`실업`이라는 용어가 갖는 낙인효과 때문에 그동안 실업계 고등학교는 학생과 학부모들로부터 외면을 받아왔습니다.

교육부는 먼저, 고교 유형을 일반고교와 특성화고교로 개편하고 현행 실업계와 기타계 고교를 특성화고교로 통합할 예정입니다.

특성화 고등학교는 소질과 적성이 조기에 발현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전문교육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 안에는 예술고와 체육고 그리고 과학고 등의 특수목적고와 대안교육과 직업교육을 맡은 학교들, 그리고 농업 공업 수산 분야의 고등학교 등이 포함됩니다.

특성화고교는 교육과정을 학교 자율로 운영할 수 있어 사회가 요구하는 수요에 맞춰 융통성 있는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외에도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방안도 발표됐는데, 공영형 헉신학교가 도입됩니까?

공영형 혁신학교란 학교운영주체가 인가권자와 협약을 맺어 학교 운영 전반에 대한 권리를 부여받고 그 결화에 대해 책임을 지는 학교 형태를 말합니다.

일반학교보다 폭넓은 자율권을 주면서도 책임성을 부과하겠다는 의도입니다.

학교 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자금은 국가와 지자체가 부담하게 됩니다.

교육부는 향후 2,3년간 시범운영을 거쳐 2010년경에는 공영형 혁신학교를 혁신도시 등으로 확산시킬 예정입니다.

교육부는 또 특성화학교와 영재 교육기관 등을 확대해 다양한 교육수요를 학교교육 안으로 흡수한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