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5년 쓰레기 종량제가 처음 시행된 이후 발생량과 재활용 면에서 8조 4백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종량제 효과에 대해서도 시민들 대다수가 긍정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된 지 10년만에 쓰레기 발생량은 감소하고 재활용은 크게 증가하는 등 경제적 편익이 크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경부가 지난 1995년 시작된 쓰레기 종량제 추진 성과를 평가한 결과 지난 2004년 1인당 하루 쓰레기 발생량은 1.03킬로그램 이었습니다.
이는 시행 전인 94년 1.3킬로그램에 비해 10년간 23% 감소하고 재활용은 175% 급증한 수치입니다.
또 1인당 쓰레기 발생량은 미국과 영국 등 OECD 30개국 평균인 1.56킬로그램 보다 낮은 것입니다.
지난 10년 간 쓰레기 처리비용 절감과 재활용품 가치 증가로 총 8조 4백억 원의 경제적 편익도 발생했습니다.
아울러 환경부가 일반 시민 700명을 대상으로 종량제 효과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긍정적인 의견이 85%로 대다수를 차지했습니다.
환경부는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일부 추진상의 문제점이 나타나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농.어촌 지역에 쓰레기 불법 소각과 무단투기 행위가 많아 전문 신고꾼 문제 등이 끊이지 않음에 따라 쓰레기 신고포상금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 지난 10년간 쓰레기 봉투값 상승률이 상수도와 하수도에 비해 크게 낮아 종량제 봉투가격의 요금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봉투가격을 3년 안에 40% 가량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환경부는 봉투가격 인상에 따른 추가 수입금은 청소장비 현대화 등 청소행정 서비스 개선 용도로 활용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