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그때를 아시나요"…동대문운동장기념관 새단장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그때를 아시나요"…동대문운동장기념관 새단장

등록일 : 2017.03.27

앵커>
우리나라 스포츠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공간이 바로 동대문운동장인데요.
지금은 없어졌지만 국내 최초의 근대 운동장이었던동대문운동장의 80여 년 역사를 추억할 수 있는 기념관이 세워졌습니다.
이아림 국민기자와 함께 가보시죠.
[기사내용]
일제강점기인 지난 1925년.
빛바랜 사진은 훗날 동대문운동장으로 이름이 바뀐 당시 경성운동장 모습입니다.
비록 일본인이 만든 것이지만 우리나라에 처음 등장한 근대운동장입니다.
사진 속의 경기는 전 조선 축구 경기 모습입니다.
광복 후 서울운동장, 그리고 동대문운동장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주요 국제경기가 펼쳐졌습니다.
60~70년대 당시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한·일 축구경기와 월드컵 예선 경기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아시아 제일의 스트라이커로 꼽혔던 차범근 선수 경기도 동대문운동장에서 펼쳐졌습니다. 그리고 9회 말 역전 명승부를 펼친 고교야구대회.
미스코리아 대회도 이곳에서 열려 온 국민들의 눈길이 모아지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서울올림픽이 열린 잠실 종합운동장에 이어 상암 월드컵경기장이 등장하면서 내리막길을 걷게 되고 결국 동대문운동장은 지난 2007년 역사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동대문운동장의 지난 80여 년 역사를 되돌아보기 위해 마련된 기념관.
실제 야구경기에서 쓴 장비와 관중들이 앉았던 좌석, 입장권도 보입니다.
동대문을 흔들었던 관중들의 함성 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인터뷰> 조승한 / 서울 도봉구
“(고교야구대회 때) 항상 만원이고 그 함성이라는 건 그 현장에서 목격한 사람이어야 상상이 되지 대단했죠 그때 암표도 많았고요.”
인터뷰> 이창복 / 경기도 의정부시
“이 운동장이 함성으로 뒤덮였었는데 운동장이 없어진 걸 보니까 좀 아쉬워요.”
베를린의 영웅 손기정이 (전국체전) 성화를 봉송할 때 신었던 운동화 등 옛 스포츠 관련 자료들도 눈길을 끕니다.
인터뷰> 정효진 학예연구사 / 한양도성연구소
“동대문운동장에 대한 기억, 추억, 역사를 되새겨주고 사라져버린 동대문운동장에게 제대로 된 작별인사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획했습니다.”
이제 야간경기를 밝히던 조명시설만 덩그러니 남아있는 동대문운동장.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지만 빛나는 옛 발자취를 엿볼 수 있는 기념관을 찾아보시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이아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