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7년까지 전체 주택의 20%를 장기 임대주택으로 건설하는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이런 가운데, 오늘 그린벨트를 해제한 지역에 지은 첫 번째 국민임대주택의 입주식이 열렸습니다.
서정표 기자>
하천을 중간에 두고 주택 2000여 가구가 조성돼 있습니다.
그린벨트 해제 지역에 조성된 국민임대주택입니다.
지난 2003년 개발제한이 해제된 뒤 지난 7월에 임대주택이 들어선 겁니다.
그린벨트 지역을 해제하고 국민임대주택을 조성한 곳은 경기도 의왕시 이곳 청계 마을이 처음입니다.
총 규모 33만 4천여 제곱미터.
국민임대 1000여 가구와 공공분양 880여 가구를 포함, 모두 2000여 가구입니다.
당초 개발제한구역 이다보니, 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정부는 이 같은 여론을 고려해 용적률 180%에 인구밀도 ha당 200명 이하의 저밀도로 개발하고, 녹지율도 20%이상 확보하는 등 일반 택지개발지구보다 강화된 기준을 적용했습니다.
무엇보다 집값이 주변시세보다 최고 55%까지 저렴하다는 점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36제곱미터 주택의 경우, 임대 보증금이 1440만원, 월 임대료는 12만원에 불과하고, 51제곱미터 주택의 경우에도 보증금 3340만원에 월 23만원만 내면 됩니다.
그렇다 보니, 장기 무주택자나 특히 홀몸노인들에겐 더없이 큰 도움이 됩니다.
현재 그린벨트 해제 지역에 건설할 예정인 국민임대주택은 오는 12월 입주식을 앞둔 광주와 부천을 포함해 모두 쉰네곳 16만여 가구입니다.
정부는 이 같은 계획에 박차를 가해 2017년까지 장기 임대주택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