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위안부 운동 [유용화의 오늘의 눈]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위안부 운동 [유용화의 오늘의 눈]

등록일 : 2020.06.10

유용화 앵커>
위안부 피해자 운동의 대의란 과연 무엇일까요.
문재인 대통령은 "위안부 운동의 대의는 굳건히 지켜져야 하며,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키려는 숭고한 뜻이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강제로 끌려가 성노예 취급을 받았던 위안부 피해자들, 이들 수는 대략 20만여 명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가 파악한 위안부 피해자는 2백여 명, 이분들 중 현재 17분만 생존해 계십니다.

30여 년 동안 갖은 어려움을 겪으면서 진행된 한국의 위안부 피해자 운동은 일제의 반인륜적인 만행을 폭로하고 고발했으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국제적인 인권과 평화의 사안으로 올려놓았습니다.

1996년 유엔인권소위원회에서 채택된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는 일본 정부의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인권침해는 명백히 국제법 위반이라는 점을 최초로 적시한 보고서입니다.
그 이후 1998년 맥두걸 보고서에서는 일본군의 위안소 운영에 대한 잔혹성을 범죄행위로 규정했습니다.
인도에 반하는 죄, 노예 죄, 집단학살, 전쟁범죄, 고문 등이 일본군의 군 위안소에서 자행되었다고 혔습니다.
뒤이어 2007년 7월 30일에 채택된 미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20세기 최대의 인신매매 범죄로 규정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일본 정부의 태도입니다.
아베 정부는 그나마 도덕적인 견지에서 사과한 1993년 고노담화가 인정한 성노예와 강제연행을 부정하고 피해자들의 개인 청구권도 부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반인도적인 태도는 일본의 재무장을 촉구하고 국가의 사과조차 거부하는 일본 극우세력의 활동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한국 내의 청산되지 못한 친일 세력의 망국적 준동까지 이어지고 있는 형편입니다.

이번에 국내에서 벌어진 시민단체 내의 분열과 폭로, 그리고 일부 알려진 불투명성이 일제가 자행한 만행을 감추거나 덮을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그동안 관련 부처와 국회가 국가적 사안을 한 민간단체에만 일임하고 방치한 것은 아닌지, 이제 와서 정쟁적 관심만 갖는 것은 아닌지 반성하고 성찰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491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