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최근 한미FTA 타결과 관련해, 한겨레는 정부가 진실을 숨기고 협상을 한 것이 아니냐는 취지의 `이면합의` 주장을 연이어 제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을 근거로 하지 않는 이같은 보도태도는 오히려 기사의 신뢰성만 잃게 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김미정 기자>

한겨레가 지난 4일 보도한 기사입니다.

`FTA 합의문 숨은 폭탄 많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겨레는 섬유 수출을 늘리기 위해 유전자 변형 생물체의 위생검역 절차를 미국의 요구대로 간소화하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앞서 3일에는 환경단체의 말을 인용해 한미FTA가 국민의 생명안전을 팔아넘긴 협상이라고 비판하고, 7일에도 한미FTA가 식탁주권을 흔든 `테이블밑 거래`라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유전자변형생물체 위생검역은 애초부터 FTA 협상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다만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우리측의 유전자변형표시에 관심을 보여, 우리의 제도 운용 현황을 확인해주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입니다.

정부는 이 같은 이면합의 논란에 대해, 다음달에나 공개되는 협상 원문을 확인도 하지 않고 이면합의 논란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이면합의는 있을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비슷한 기사는 또 있습니다.

지난 3월 31일 발생한 FTA 반대시위와 관련해 한겨레는 `경찰청장 강경선회 청와대 의중 실린 듯`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한겨레는 한 경감급 간부가 `반FTA 집회에 대한 과잉진압에는 청와대의 의중이 실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면서, 이를 기사의 근거로 삼았습니다.

익명의 취재원이 추측성으로 내뱉은 한마디를 들어 마치 청와대가 폭력을 사주한 집단인 것처럼 보도한 것입니다.

이 밖에도 협상 타결 다음날 한겨레가 실은 제목들은 이번 한미FTA 협상에 대해 정부가 뭔가 숨기고 있다는 의심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언론사가 기사를 통해 의견과 주장을 제시할 순 있지만, 사실을 외면한 기사는 신뢰성을 잃어버리고 맙니다.

연이은 반FTA 보도가 `사실`을 넘어 오로지 최악의 가능성만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해 볼 때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