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이공계 지원 특별법' 본격 시행!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이공계 지원 특별법' 본격 시행!

등록일 : 2025.07.24 11:52

차현주 앵커>
정부가 지난달 국무회의에서 이공계지원 특별법을 의결했습니다.
글로벌 AI 시대에 발맞춰, 과학기술 인재 양성에 본격적으로 나서기 시작한 건데요.
자세한 내용,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윤석빈 서강대 AI·SW 대학원 특임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출연: 윤석빈 / 서강대 AI·SW 대학원 특임교수)

차현주 앵커>
먼저, 현재 이공계 인재에 대한 처우는 어떠한가요?

차현주 앵커>
이공계지원 특별법 개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차현주 앵커>
또 박사후연구원 지원의 필요성도 언급했는데요.
특별히 이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또 어떤 방법으로 지원을 할 수 있을지 말씀해 주시죠.

차현주 앵커>
그렇다면 이공계지원 특별법 개정의 핵심 내용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정부가 추진 중인 '소버린 AI'나 'AI 고속도로'와 이번 이공계지원 특별법 개정안이 정책적 맥락에서 어떻게 연결되는지 궁금합니다.

차현주 앵커>
이공계 인재 확보를 위해서는 초·중·고 단계에서부터 준비가 필요해 보이는데요.
이를 위한 교육 정책은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요?

차현주 앵커>
해외 주요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이공계 인재 관리는 어떻게 되고 있나요?

차현주 앵커>
교육 환경 개선에는 교수들에 대한 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이공계 진학을 유도하는데 있어 단순 재정 지원 외에 어떤 제도적 유인이 더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그렇다면 AI 중심 사회로의 전환 속에서, 핵심 교육 현장인 대학은 어떻게 바뀌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마지막으로 이 법이 실효성 있게 운영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차현주 앵커>
지금까지 윤석빈 서강대 AI·SW 대학원 특임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