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를 심리적으로 지배해 거액의 돈을 송금하게 하는 '보이스피싱'.
AI와 딥페이크 등 기술을 악용해 더 진짜 같아지면서 피해 규모가 늘고 있습니다.
정부가 금융과 통신, 수사 정보를 모아 처리하는 'AI 플랫폼'을 올해 안에 만들어 보이스피싱 근절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카드 배송원과 검사를 사칭한 보이스피싱으로 피해를 당한 A 씨.
무심결에 받은 전화가 2억 5천만 원의 금전 피해로 이어졌습니다.
전화 인터뷰> A 씨 / 보이스피싱 피해자
"카드 배송 온다고. ○○카드 배송 온다고. ○○카드 이미 발급해서 쓰고 있는데 무슨 소리냐 했더니 내 명의가 도용돼서 ○○카드가 발급됐대요."
보이스피싱범은 검찰이라며 A씨를 구속하겠다고 으름장을 놨습니다.
전화 인터뷰> A씨 / 보이스피싱 피해자
"통화를 하는데 갑자기 검찰로 넘어가요. 전화가. 검찰이라 하면서 제가 명의도용을 당해서 사람들 수십 명한테 몇십억 원을 사기 치고 해외로 송금해서 (제가) 수사에 협조를 안 하면 저를 구속 수사하겠대요."
전형적인 수법이지만 보이스피싱범의 겁박에 심리적으로 지배된 A 씨는 송금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시나리오가 점차 그럴싸해지고, AI와 딥페이크 등 기술이 악용되면서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는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A 씨 같은 보이스피싱 피해자 2만여 명이 8천500억 원이 넘는 재산 피해를 입었습니다.
1년 사이 피해 건수는 10% 늘었고 금액으로 따지면 피해가 91% 불었습니다.
올해 피해 금액은 1조 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되면서 정부가 대응에 나섰습니다.
금융위원회는 금융권과 통신사, 수사기관 정보를 한데 모은 '보이스피싱 AI 플랫폼'을 올해 안에 가동할 계획입니다.
녹취> 권대영 /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기존의 방식보다는 AI 시대에 맞는, 저희도 진화하는 범죄 수법에 AI를 통해서 방패를 만들겠다..."
축적된 범죄의 패턴을 분석해 신종 수법 파악과 사전 탐지, 예방 등 보이스피싱에 효율적으로 대응한다는 구상입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번 플랫폼 구축은 금융위가 구상하고 있는 여러 방안의 첫 사례일 뿐"이라며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예방과 차단, 구제와 홍보 등 단계별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김윤상, 황신영 /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