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새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처음으로 반응을 내놨습니다.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고 말했는데요.
정부는 일희일비하지 않겠다며, 한반도 평화 노력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단 입장을 밝혔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조한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는 제목의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담화입니다.
이재명 정부의 대북방송 중단과 전단살포 중지 등을 나름대로 '성의 있는 노력'이라고 평가하면서도,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과 우리와의 대결기도는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에 대한 대적인식은 변화가 있을 수 없으며, 조한관계, 즉 남북관계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은 역사의 시계초침은 되돌릴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부부장은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단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기조를 다시 한번 확인한 겁니다.
이번에도 우리를 남측이 아닌 한국이라고 지칭했고, 남북관계도 조한관계라고 표현했습니다.
올해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 김정은 국무위원장 초청이 거론되는 것에 대해선 '헛된 망상'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지난 몇 년간 적대 대결 정책으로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일희일비하지 않고 한반도 평화 노력을 계속하겠단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녹취> 구병삼 / 통일부 대변인
"정부는 북한의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화해와 협력의 남북관계를 만들고 한반도 평화 공존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차분히 일관하게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대통령실도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인 평화 정착은 이재명 정부의 확고한 철학이라며, 적대와 전쟁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일관되게 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영상취재: 김태형 / 영상편집: 김세원 / 영상그래픽: 민혜정)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