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배너 닫기
이재명 대통령 UN총회 참석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가명 정보' 제도 개선···데이터 활용 촉진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가명 정보' 제도 개선···데이터 활용 촉진

등록일 : 2025.09.24 20:02

모지안 앵커>
개인정보의 주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한 '가명 정보'는 과학적 연구와 통계작성 등에 쓰입니다.
지난 2020년 도입됐지만, 지난해 정보 제공률은 2%에 그쳤는데요.
정부가 인공지능 시대에 걸맞게 가명 정보 활용 문턱을 낮추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김찬규 기자입니다.

김찬규 기자>
지난 2020년 도입된 가명 정보 제도.
개인정보 주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해 통계 작성과 AI 등 과학적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인데, 최근 1년 사이 가명 정보를 제공한 공공기관은 2%에 불과합니다.
가명 처리부터 반출까지 드는 기간이 평균 310일로 긴 데다, 정보 주체 식별 가능성에 따른 법적 책임 우려로 공공기관과 병원 등의 정보 제공이 소극적인 겁니다.
정부가 이런 어려움을 개선해 가명 정보 활용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녹취> 김민석 국무총리
"AI 시대의 큰 위협인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줄이고, 데이터 활용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열어가도록 과감히 지원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가명 처리를 위탁할 수 있는 원스톱서비스를 내년부터 제공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가명 처리 전문성과 역량을 바탕으로 지정하는 전문 기관이 적정성을 확인하도록 해 법과 행정적 부담을 덜 계획입니다.
또, 공무원 면책 조항을 구체화해 실무자 부담을 줄일 방침입니다.
가명 정보 제공 실적을 공공기관과 기업 ESG 평가 가점으로 반영하고 처리 비용을 수수료 수입으로 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책도 마련합니다.
가명 처리 기간은 오는 2027년까지 300여 일에서 100일 이내로 대폭 줄입니다.

녹취> 양청삼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정책국장
"가명 정보 활용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인데, 가명 정보 처리 절차를 차등화해 개인정보 침해 리스크가 낮은 경우에는 절차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이미지와 영상의 가명 처리 적정성 검증은 기존 전수조사에서 표본조사로 바꿉니다.
(영상취재: 강걸원 민경철 임주완 한기원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강은희)
비식별성 탓에 지나치게 떨어지는 데이터 활용도도 개선합니다.
올해 안에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에 가명 처리 적정성 심의위원회 구성과 운영 사항을 마련해 일관된 처리 수준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KTV 김찬규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