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 등 비만치료제의 투여 연령대가 최근 12세 이상 청소년까지 확대됐습니다.
그러나 청소년의 경우 담석증, 저혈압 등의 발생 빈도가 성인보다 높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유림 기자입니다.
정유림 기자>
그동안 해외에서만 이뤄졌던 비만약 '위고비'의 청소년 처방이 지난달 말부터 국내에서도 가능하게 됐습니다.
그러나 처방 대상은 명확한 제한 사항이 있습니다.
초기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에 해당하고 체중이 60㎏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위고비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오남용 논란 속에 처음 청소년 사용이 허용된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임상시험 결과 허가 범위 내에서 사용했음에도 구토와 설사, 복통 등 위장관 장애가 보고됐습니다.
특히 청소년은 담석증과 담낭염, 저혈압 등 부작용 발생률이 성인보다 높았습니다.
청소년 환자의 경우 더욱 엄격한 처방과 신중한 투여가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전화인터뷰> 안광수 / 식약처 바이오의약품품질관리과장
"청소년은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단계이므로,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양 부족과 위장관계 부작용으로 인한 탈수 등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반드시 의사의 처방 등 허가 범위 내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정상 체중에 대해선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만큼, 비만과 과체중 환자만 허가된 용법에 맞게 쓰는 게 가장 중요하단 결론입니다.
식약처는 비만치료제의 부작용을 지속 모니터링하는 한편, 올바른 사용방법에 대한 홍보도 강화한단 방침입니다.
보건소, 의료기관 등에 홍보물을 배포하고 교육부와 함께 각 학교를 통해서도 비만치료제의 안전한 사용법을 안내하기로 했습니다.
(영상편집: 최은석 / 영상그래픽: 강은희)
식약처는 비만치료제를 맞은 후 만약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났다면 의약품 피해구제제도를 이용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