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라고 들어보셨나요 간병인, 보육교사 등 사회적으로 필요하지만 낮은 처우로 인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정부는 올해 이러한 사회서비스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출범식을 가졌습니다.
사회서비스향상 기획단이 27일 오전 장병완 기획예산처 장관 등 각계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출범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사회서비스는 사회적으로 필요하지만 낮은 처우와 보수 등의 이유로 시장에서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는 서비스.
간병인, 보육교사, 장애인 도우미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기획예산처가 각 부처를 통해 사회서비스에 대한 국민 욕구 충족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2.4%만이 사회서비스에 충족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이 중 사회복지와 보건의료분야의 충족률이 각각 48.1%와 63.2%. 다른 분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사회서비스 고용비중 또한 2003년 기준 12.5%로 20%를 넘는 영국, 네덜란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날 출범한 사회서비스향상 기획단은 사회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기획예산처와 재경, 교육부 등 10개 부처 22명의 공무원으로 구성돼 내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부처합동 태스크포스.
기획단은 사회서비스 재정사업을 평가해 투자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담당 인력을 양성하는 등 사회서비스 공급 확대를 위한 인큐베이팅 역할을 하게 됩니다.
기획단은 또한 사회서비스 분야의 일자리가 90만개 가량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향후 이 부분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획예산처는 올해 3천 39억원을 사회서비스분야에 투자에 사회서비스확충의 제도적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