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
"살기 좋은 지방시대 본격화"···2027년 수도권 인구집중도 50%↓
송나영 앵커>윤석열 정부는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핵심 국정목표로 삼고,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왔는데요.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지난 1년간의 노력과 앞으로의 계획을, 윤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윤현석 기자>지역 불균형과 지방 소멸 위험이 갈수록 높아지는 대한민국.이에 윤석열 정부는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
-
대통령실 브리핑 (23. 05. 11. 16시)
대통령실 브리핑 (23. 05. 11. 16시)이도운 / 대통령실 대변인(장소: 대통령실 브리핑룸)
-
국방혁신위 출범···"제2의 창군 수준 변화"
임보라 앵커>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 직속 국방혁신위원회 출범식에 참석했습니다.윤 대통령은 제2의 창군 수준의 대대적인 변화를 주문했습니다.문기혁 기자입니다.문기혁 기자>국방혁신위원회 출범식(장소: 11일, 용산 대통령실)대통령 직속 국방혁신위원회가 새롭게 출범했습니다.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 등 8명이 민간위원으로 활동합...
-
사상 최대 규모 방산 세일즈···세계로 뻗어 나가는 'K-방산'
윤세라 앵커>우리나라는 '세계 9위' 방산 수출 대국이 됐습니다.역대 최대 방산 수출액 달성에는 정부의 '세일즈 외교'가 한 몫 했는데요, 지난 1년, K-방산의 수출성적표를, 김민아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김민아 기자>(장소: 육군 제8기동사단)굉음과 화염이 뿜어져 나오고, 주포가 목표지점을 정확히 타격합니다.현장음>"적의 저항세력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
-
"앞으로도 국민만 바라보고 일할 것"···윤석열 정부 출범 1년 성과는?
김용민 앵커>윤석열 대통령이 조금 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코로나19 방역 완화 조치를 발표했습니다.관련 주요 내용과 함께 윤석열 정부 출범 1년 관련 성과와 이슈도 살펴봅니다.윤세라 앵커>서울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최수영 시사평론가와 이야기 나눠봅니다.(출연: 최수영 / 시사평론가)김용민 앵커>오늘 있었던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
-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윤석열 대통령 모두발언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윤석열 대통령 모두발언윤석열 대통령(장소: 용산 대통령실)
-
"개혁 체감 위해 속도···국민만 바라보고 일하겠다"
최대환 앵커>지난해 5월 10일과 마찬가지로, 취임 후 1년을 맞은 윤석열 대통령의 첫 일정은 국립서울현충원 방문이었습니다.자화자찬하는 행사는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미리 밝힌 만큼 차분한 하루를 보낸 가운데, 지난 1년은 잘못된 국정을 바로잡는 과정이었다고 평가하고, 앞으로도 국민만 바라보고 일하겠다고 밝혔습니다.최영은 기자입니다.최영은 기자>(장소: 10...
-
복합 경제 위기 속 출범···"민생 안정 주력"
최대환 앵커>그럼 지금부터 윤석열 정부 1년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지난해 이맘때 고물가와 경기 둔화 등 복합 위기 상황 속에 윤석열 정부가 출범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경제위기 극복과 민생안정은 지난 1년간 국정의 최우선 목표였는데요.물가를 잡고 금융시장 불안 해소에 매진해온 지난 1년을, 김용민 기자가 보도합니다.김용민 기자>지난해 5월 서부텍사스산 ...
-
노동·교육·연금 '3대 개혁'···"올해 개혁 원년"
최대환 앵커>지난 1년간 윤석열 정부가 추구한 변화는 무엇보다 노동, 교육, 연금 분야에 대한 3대 개혁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정부는 특히 올해를 개혁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각오인데요.무엇이 바뀌었고, 또 앞으로는 어떻게 바뀌게 될지, 문기혁 기자가 전합니다.녹취> 윤석열 대통령 / 2023년 업무보고 (지난해 12월 21일)"2023년은 바로 이 개혁을 ...
-
'세계 1위' 국내 조선업, 재도약 앞당긴다
최대환 앵커>우리 조선산업이 올해 1분기에 전 세계 수주실적 1위를 달성했습니다.지난 1년 동안 윤석열 정부는 조선업의 재도약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았는데요.정부는 앞으로도 인력과 금융은 물론 미래 기술력 확보까지, 적극적인 지원을 이어나간다는 방침입니다.서한길 기자입니다.서한길 기자>올해 1분기, 세계 선박시장 수주점유율 40%를 차지하며 세계 1위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