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경제장관회의에서는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이 다수 발표됐는데요.
앞서 보신 것처럼, 정부는 배터리 순환이용을 활성화하는 한편, AI컴퓨팅 구축을 위해 GPU 확보에 속도를 낸다는 방안을 내놨습니다.
취재기자와 좀 더 자세히 나눠보겠습니다.
최유경 기자, 먼저 사용후배터리 육성 배경부터 짚어주시죠.
최유경 기자>
네, 최근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사용이 확대됐습니다.
폐배터리 또한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인데요.
이 배터리를 버려지는 폐기물이 아닌,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핵심 원료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구축하겠다는 겁니다.
이미 해외에서는 다양한 정책 지원을 늘리고 있는데요.
국내 사정은 다릅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녹취> 김완섭 / 환경부 장관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EU 등 주요국은 시장 선점을 위해 보조금 지급, 규제 개선 등 다각적으로 정책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은 심화된 글로벌 경쟁 속에서 활로 확보, 원료 수급 등의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더 늦기 전에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투자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핵심 원료를 재활용할 경우, 광산 채굴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80%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또 글로벌 배터리 순환 시장은 연평균 20%씩 성장 중입니다.
2040년에는 2천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인데요.
정부는 국내 산업계가 글로벌 배터리 순환이용을 선도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최대환 앵커>
배터리 순환이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최유경 기자>
네, 우선 '재생원료 사용 목표제'를 추진합니다.
배터리를 만들 때 원료 일부분을 재생 원료로 사용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국내에서 제조된 배터리는 물론, 수입된 배터리도 적용 대상인데요.
구체적인 시행시기와 목표 수준은 향후 재생 원료 생산능력을 고려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
재생 함유량도 중요하지만, '진짜' 재생인지를 검증하는 것도 관건일 텐데요.
이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재생원료 인증제도'를 도입합니다.
폐배터리나 불량품에서 회수된 금속을 재생 원료로 인증하고, 새 배터리에 이 재생 원료가 얼마나 사용됐는지 확인하는 제도인데요.
올해 안으로 세부 방안을 마련해, 내후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입니다.
최대환 앵커>
계획이 차질없이 이행돼야겠습니다.
또 AI컴퓨팅 구축을 위한 방안도 마련됐다고요?
최유경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이번 회의를 통해 과기부는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을 확정 발표했습니다.
세계적으로 AI컴퓨팅 인프라가 인공지능 생태계 성장 핵심 요소로 떠올랐지만, 한국은 절대적인 인프라 부족에 직면한 실정인데요.
이에 정부는 첨단 GPU를 올해 안으로 1만 장 확보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이를 위한 1조4천억 원 규모의 추경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구체적인 계획으로는, 고성능 GPU를 신속하게 확보해 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업 공모를 이달부터 진행하는데요.
선정 기업을 통해 구매발주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오는 10월부터 데이터센터에 순차 지원에 나섭니다.
최대환 앵커>
네, 잘들었습니다.
최유경 기자 수고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