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중소기업들은 수출 국가 다변화에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소기업들로선 관세 정보 파악이나 계약 지연 대응 등이 쉽지 않아서인데요.
정부가 수출 중소기업들을 위해 신시장 진출 자금 천억 원을 추가로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김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경호 기자>
미국이 앞서 기본관세를 발효한 데 이어 오는 7월에는 상호관세까지 추가 발효될 전망입니다.
녹취> 오영주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중기중앙회는 상호관세 발효에 따른 실태조사를 실시한 바 있습니다. 81%의 중소기업이 상호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응답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은 수출국 다변화 부담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세 정보 파악과 계약 지연 등도 주요 애로사항으로 꼽혔습니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미 관세 대응을 위한 추가 지원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수출국 다변화를 위해 신시장 진출 자금 1천억 원을 추가 공급합니다.
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해서는 해외 인증 획득 비용 100억 원을 추가 지원합니다.
관세 타격이 큰 주요 품목에 대해서는 해외 전시회 참여를 지원합니다.
주요 시장에는 사절단을 보내 국내 스타트업의 진출을 연계합니다.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일대일 전담관제도 운영합니다.
전국 세관을 통해 피해 기업에 관세 정보와 정부 지원을 연계할 방침입니다.
현장의 애로사항을 통합 관리할 원스톱 관세대응 지원본부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 영상그래픽: 김민지)
KTV 김경호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