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KTV 편성개방
KTV소개
KTV소식
편성표
정보공개
로그인
모바일
KTV국민방송
검색
검색
검색
채널안내 펼쳐기
IPTV(KT, SKB, LGU+)
64번
스카이라이프
164번
전체메뉴 열기
온 에어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온 에어
방송안내
통합검색
KTV 소식
KTV소개
회원관리
정보공개
이용안내
편성개방안내
사이트맵 전체보기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블로그
네이버TV
맨위로 가기 버튼
본문
"김 추기경 선종···나라의 큰 손실"
김수환 추기경이 어제 저녁 선종했습니다. 빈소가 마련된 명동성당에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나라의 큰 손실이라면서 애도의 뜻을 표했습니다. 김수환 추기경이 어제 오후 6시12분, 향년 87세로 선종했습니다. 김 추기경은 작년 7월부터 노환으로 서울 강남성모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 왔습니다. 추기경은 마지막 순간까지...
이 대통령, 故 김수환 추기경 조문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오후 김수환 추기경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명동성당을 방문해 조문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명동성당에 도착해 정진석 추기경의 안내로 김 추기경의 시신이 안치된 유리관을 앞에서 고개를 숙여 고인의 모습을 지켜봤습니다. 이 대통령은 조문록에 '우리 모두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우리 모두의 가슴에 함께 할 것입니다'라고 적은 뒤 ...
부처별 뉴스
대통령실
"김 추기경, 이 대통령에 큰 힘"
앞서 이명박 대통령이 선종한 김수환 추기경을 조문한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 대통령과 김 추기경은 수십년전부터 인연을 맺어왔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이 대통령에게 김 추기경은 어려울 때마다 기도로 큰 힘과 위로가 된 분이셨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이명박 대통령과 김수환 추기경은 이 대통령이 현대그룹에...
[정보와이드 930]
2009.02.17
이 대통령 "체감지수와 괴리된 물가 챙겨야"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국무회의를 주재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라에서 체감지수와 괴리된 물가문제를 꼭 챙겨달라고 주문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서민 물가문제를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기름값이나 원자재값은 많이 하락했는데 물가는 그만큼 내리지 않아 국민들이 의아해한다"며 "체감지수와 괴리된 물가문제를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2009.02.17
이 대통령 "국민보호에 소홀함 없이 만전"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국가총력 방위태세를 다지기 위해 연례행사로 실시되고 있는 통합방위중앙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정부는 국민보호에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주재한 오늘 회의에서 "비록 분당상황이긴 하지만 북한과 화합하고 더불어 공생·공영한다는 대한민국의 기조는 확...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2009.02.17
한미정상 4월 첫 단독회담 가능성
오는 4월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G20 금융정상회의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첫 정상회담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미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미국측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한미정상회담 개최 의사를 전달했다"면서 "미국측에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이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2009.02.17
탈라바니 이라크 대통령 23일 방한
잘랄 탈라바니 이라크 대통령이 오는 23일 우리나라를 국빈 방문해 이명박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두 나라간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입니다. 양국 정상은 특히 우리 기업의 대이라크 진출 확대와 우리 정부의 대이라크 재건 사업 지원에 대해 폭넓게 논의할 예정입니다. 이라크 정상이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것은 지난 1989년 양국 외교관계...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2009.02.17
"김 추기경 선종···나라의 큰 손실"
김수환 추기경이 어제 저녁 선종했습니다. 빈소가 마련된 명동성당에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나라의 큰 손실이라면서 애도의 뜻을 표했습니다. 김수환 추기경이 어제 오후 6시12분, 향년 87세로 선종했습니다. 김 추기경은 작년 7월부터 노환으로 서울 강남성모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 왔습니다. 추기경은 마지막 순간까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2009.02.17
이 대통령, 故 김수환 추기경 조문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오후 김수환 추기경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명동성당을 방문해 조문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명동성당에 도착해 정진석 추기경의 안내로 김 추기경의 시신이 안치된 유리관을 앞에서 고개를 숙여 고인의 모습을 지켜봤습니다. 이 대통령은 약 30분 간 고인을 추모하고, 명동성당을 떠났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2009.02.17
이 대통령 "체감지수와 괴리된 물가 챙겨야"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국무회의를 주재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라에서 체감지수와 괴리된 물가문제를 꼭 챙겨달라고 주문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서민 물가문제를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기름값이나 원자재값은 많이 하락했는데 물가는 그만큼 내리지 않아 국민들이 의아해한다"며 "체감지수와 괴리된 물가문제를 ...
[정책 현장 (2004~2005년 제작)]
2009.02.17
이 대통령 "국민보호에 소홀함 없이 만전"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국가총력 방위태세를 다지기 위해 연례행사로 실시되고 있는 통합방위중앙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정부는 국민보호에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주재한 오늘 회의에서 "비록 분당상황이긴 하지만 북한과 화합하고 더불어 공생·공영한다는 대한민국의 기조는 확...
[정책 현장 (2004~2005년 제작)]
2009.02.17
"김 추기경 선종...국가적 큰 손실"
김수환 추기경이 어제 저녁 선종했습니다. 빈소가 마련된 명동성당에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나라의 큰 손실이라면서 애도의 뜻을 표했습니다. 김수환 추기경이 어제 오후 6시12분, 향년 87세로 선종했습니다. 김 추기경은 작년 7월부터 노환으로 서울 강남성모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 왔습니다 추기경은 마지막 순간까지 호...
[정책 현장 (2004~2005년 제작)]
2009.02.17
3751
3752
3753
3754
3755
3756
3757
3758
3759
3760
게시물 검색
검색 조건
제목
프로그램명
검색어 입력
검색
인기뉴스
미-베네수엘라 긴장 고조 [월드 투데이]
내년 R&D 예산 35.3조원
강릉 오봉저수지 저수율 '뚝'···"빨래도 미뤄요"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확대·수해복구 지원
재해위험지역 정비 확대···초급 군 간부 처우 개선 [뉴스의 맥]
'최악 가뭄' 강릉···재난 사태 선포·국가소방동원령 발령
아동수당 만 8세까지 지급···아이돌봄 지원 확대
오늘의 날씨 (25. 08. 29. 10시)
직접 방문 '주민등록 사실조사' 실시···이·통장이 세대정보 확인
"보이스피싱 검거 경찰관에 감사···공직자 미담 적극 발굴"
인기 프로그램
1
도서관에서 놀아요 '달성어린이숲도서관' 인기
2
강릉 오봉저수지 바닥, 제한급수 시민 불편 가중
3
전통 미술 '민화' 새로운 K-콘텐츠로 주목
4
초고령사회를 사는 젊은 노인
5
여름 대표 과일 '복숭아' 역사와 문화 재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