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KTV 편성개방
KTV소개
KTV소식
편성표
정보공개
로그인
모바일
KTV국민방송
검색
검색
검색
채널안내 펼쳐기
IPTV(KT, SKB, LGU+)
64번
스카이라이프
164번
전체메뉴 열기
온 에어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뉴스
주요뉴스
최신뉴스
경제
사회
문화
과학
외교/안보
정책이슈
프로그램
정책
문화/교양
보도
특집
국가기념식
종영
온라인콘텐츠
SNS콘텐츠
카드뉴스
부처 홍보영상
정책브리핑
OTT
이용자 참여
편성개방 안내
시청자 의견
방송소재 제안
영상기증
국민신문고
클린신고센터
공익신고
온 에어
방송안내
통합검색
KTV 소식
KTV소개
회원관리
정보공개
이용안내
편성개방안내
사이트맵 전체보기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블로그
네이버TV
맨위로 가기 버튼
본문
이 대통령, 학술원회원 초청 오찬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6일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140여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간담회를 함께 하고 학계 원로들의 정책제언을 들었습니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우리나라의 현재 학술발전에는 학계 최고 권위자인 학술원 회원들의 노고가 있었다"며 참석자들을 격려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학문의 수준이 나라의 위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만큼,...
"지난해 규제개혁 목표 96% 달성"
청와대는 지난해 1천249건의 규제개혁 정비 목표 중 이중 1천202건가 정비돼 96%의 진도율을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정부와 비교하면 2003년 첫해 669건의 과제가 규제개혁법으로 정리가 된 것에 비하면 훨씬 많은 숫자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재계에서 건의했던 과제 중 처리된 건수가 321건으로, 지난 정부 5년 동안 처리된 278건...
부처별 뉴스
대통령실
이 대통령 "긍정 바이러스 퍼뜨려 달라"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일 끝난 장차관 국정워크숍에서 "자부심과 일체심을 갖고 '긍정의 바이러스'를 퍼뜨려 달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자리에서 "100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한 격동기에 한 배를 탔다는 사실 만으로도 대단한 인연"이라면서 이같이 당부했습니다. 특히 "성공적 국정운영을 위한 가장 기본적 코드는 안팎의 `화합과 소통'"이라면...
[주간 청와대 소식]
2009.02.07
이 대통령 "신빈곤층 찾아내 지원해야"
이명박 대통령은 어제 경기도 안양의 한 보건복지종합상담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신빈곤층의 사각지대를 찾아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현장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들에게 직접 전화상담을 해주기도 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경기도 안양의 보건복지종합상담센터를 찾았습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신빈곤층...
[정보와이드 모닝]
2009.02.06
이 대통령 "법질서 지키는 사회 시급"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잠시 불편이 있더라도 일류국가를 위해 법질서를 지키는 사회를 만드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우리 사회가 법질서, 윤리가 무너지는 환경에서 잠시 고통스럽거나 불편이 있을지 몰라도 일류국가를 위해 법질서와 윤...
[정보와이드 930]
2009.02.06
이 대통령, 20일 클린턴 국무장관 접견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오는 20일 청와대에서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을 접견하고, 한미관계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입니다. 이 대통령은 이에 앞서 19일에는 아이크 스켈튼 미 하원 군사위원장과 군사위 소속 의원 11명을 접견하고 한미동맹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합니다. 한편 김성환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오는 11일부터 닷새동안 미국을 방...
[정보와이드 930]
2009.02.06
이 대통령 "법질서 지키는 사회 시급"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들을 청와대로 초청한 자리에서 "잠시 불편이 있더라도 일류국가를 위해 법질서를 지키는 사회를 만드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우리 사회가 법질서, 윤리가 무너지는 환경에서 잠시 고통스럽거나 불편이 있을지 몰라도 일류국가를 위해 법질서와 윤리를 지키는 사회를 만드는 일이 시급하다...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2009.02.06
이 대통령 "법질서·윤리 지키는 사회 시급"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경제위기와 관련해 단합을 다시 한번 강조했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서 알아봅니다. 이경미 기자! Q1> 내용 전해주시죠 A1> 이명박 대통령은 "올해는 온 세계가 너나할 것 없이 전부 마이너스 성장이고 대한민국은 더더욱 어...
[정책 현장 (2004~2005년 제작)]
2009.02.06
이 대통령 "신빈곤층 찾아내 지원해야"
이명박 대통령은 어제 경기도 안양의 한 보건복지종합상담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신빈곤층의 사각지대를 찾아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현장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들에게 직접 전화상담을 해주기도 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경기도 안양의 보건복지종합상담센터를 찾았습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신빈곤층...
[정책 오늘 (2008~2010년 제작)]
2009.02.06
이 대통령, 129 보건복지 콜센터 방문
이명박 대통령이 오늘 오전 경기도 안양의 한 보건복지콜센터를 방문했습니다. 위기가구 보호를 위한 민생안전 지원체계 추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행보였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이경미기자! Q1> 오늘 이 대통령이 직접 현장을 방문했죠? A1>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아침 안양의 한 보건복지콜센터를 방문해 일자리 문제로...
[정보와이드 모닝]
2009.02.05
워크아웃 추진기업 애로 해소
어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비상경제대책회의'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지난달부터 추진하고 있는 워크아웃 작업이 당초 계획보다 속도를 내지 못하는 문제가 집중 점검됐습니다. 아울러서, 워크아웃 대상 건설업체와 중소조선업체의 애로사항을 해소해주기 위한 방안도 마련됐습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1차 신용위험평가에 따른 건설과 중소조선...
[정보와이드 모닝]
2009.02.05
"복지 사각지대 찾아내 지원해야"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오전 경기도 안양의 한 보건복지종합상담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신빈곤층의 사각지대를 찾아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현장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들에게 직접 전화상담을 해주기도 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경기도 안양의 보건복지종합상담센터를 찾았습니다. 이 대통령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정보와이드 930]
2009.02.05
3761
3762
3763
3764
3765
3766
3767
3768
3769
3770
게시물 검색
검색 조건
제목
프로그램명
검색어 입력
검색
인기뉴스
미-베네수엘라 긴장 고조 [월드 투데이]
내년 R&D 예산 35.3조원
강릉 오봉저수지 저수율 '뚝'···"빨래도 미뤄요"
고용부 "비전문 외국인력 특화훈련 사업 활성화 위해 노력" [정책 바로보기]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확대·수해복구 지원
재해위험지역 정비 확대···초급 군 간부 처우 개선 [뉴스의 맥]
내년 지방세제,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 '감면'
'최악 가뭄' 강릉···재난 사태 선포·국가소방동원령 발령
아동수당 만 8세까지 지급···아이돌봄 지원 확대
보이스피싱 통합대응단 24시간 운영···이통·금융사 책임 강화
인기 프로그램
1
도서관에서 놀아요 '달성어린이숲도서관' 인기
2
강릉 오봉저수지 바닥, 제한급수 시민 불편 가중
3
전통 미술 '민화' 새로운 K-콘텐츠로 주목
4
수출 100억 달러, 기적의 설계도(다큐 7부)
5
초고령사회를 사는 젊은 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