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한미 정상회담
본문

KTV 국민방송

내년 지방세제,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 '감면'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내년 지방세제,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 '감면'

등록일 : 2025.08.28 20:30

모지안 앵커>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이 발표됐습니다.
비수도권과 인구감소지역에 더 많은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이 포함됐습니다.
또 신혼부부와 청년층의 주거 안정 대책도 담겼습니다.
최다희 기자입니다.

최다희 기자>
행정안전부가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수도권 쏠림 문제 완화와 서민 생활 안정이 개편의 핵심입니다.

녹취> 윤호중 / 행정안전부 장관
"올해 지방세제 개편을 하면서는 국가균형발전 그리고 민생경제 회복이라는 면에서 우선적으로 해야될 일들이 논의의 대상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선 지역별 차등 감면 체계가 도입됩니다.
비수도권과 인구감소지역에 더 많은 세제 혜택을 주는 겁니다.
지역 경제와 연관성 높은 산업·물류·관광단지에 대해서는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감면율을 높게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수도권 산업단지 입주자는 취득세 감면율이 35%지만, 비수도권은 50%, 인구감소지역은 75%까지 확대됩니다.
인구감소지역에서 창업하거나 사업장을 신설할 경우 부동산 취득세와 재산세 감면 혜택이 최대 8년간 적용됩니다.
또 인구감소지역 기업이 지역 주민을 고용하면 법인지방소득세에서 근로자 1인당 최대 70만 원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지역 아파트 미분양 문제 해결을 통한 지방 부동산 활성화 방안도 눈에 띕니다.
인구감소지역에서 추가 주택을 구입하는, 이른바 '세컨드 홈'의 특례 대상 주택 기준도 크게 완화됐습니다.

녹취> 김정선 / 행정안전부 지방세정책과장
"1주택자가 인구 감소 지역 내 주택을 추가 취득 시에도 1주택 특례를 부여하는 '세컨드 홈' 세제 지원 대상 주택의 가액 기준을 상향하고, 대상 지역도 비수도권 인구감소 관심지역까지 확대합니다."

인구감소지역 내 재산세 특례 대상 주택의 공시가격 상한은 4억 원에서 9억 원으로, 취득세 특례 대상 주택의 취득가액은 3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상향됩니다.
전국 13만4천 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기 위해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 감면도 신설됩니다.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세제 지원도 계속됩니다.
신혼부부와 청년층의 생애 첫 주택 취득세 100% 감면 혜택이 연장되고, 출산과 양육을 위한 주택 구입 시 받는 취득세 100% 감면 혜택도 유지됩니다.
이번 개편안은 다음 달 22일까지 입법예고를 거쳐 10월 초 국회에 제출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박남일, 전병혁 /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손윤지)

KTV 최다희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