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김 위원장, "한반도 비핵화는 북한의 목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7월13일 평양을 방문한 중국의 탕자쉬안 국무위원을 만난 자리에서 한반도 비핵화 실현은 북한이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목표라고 말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13일 오후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로 평양을 방문한 탕자쉬안(唐家璇) 국무위원을 백화원 영빈관에서 만나 한반도의 비핵화는 북한의 목표라...
-
통일부 장관, "필요하면 국회동의 받을 것"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7월13일 북한의 핵폐기 시 200만kW의 전력을 북한에 직접 송전하는 내용의 `중대제안'과 관련해, "절차와 규정에 대한 검토를 거쳐 국회 동의가 필요하다면 받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 장관은 13일 북한이 핵을 폐기하면 200만 kw의 전력을 북한에 직접 송전하는 내용의 중대제안과 관련해 "현재 필요한 절차에 대한 검토를 진행...
-
남한 전력 북한에 직접 공급
정부는 7월12일 북한이 핵 폐기에 합의하면 남한이 단독으로 북한에 200만㎾의 전기를 직접 송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12일 노무현 대통령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어 ‘대북 중대제안’ 내용을 국민들에게 알리기로 합의하고 회의 직후에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대북 직접 송전계획은 “한반도의...
-
장성급회담 실무회담 20일 서울 개최
제3차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을 위한 실무대표회담이 20일 서울에서 열립니다.
국방부는 7월12일 “지난해 6월4일 2차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합의한 합의서의 완전한 이행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 장성급 군사회담 제3차 실무대표회담을 20일 서울에서 처음 열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남측은 장성급 군사회담을 백두산에서 개최하기로 한 제15차 장관급회담 합...
-
정책초대석
7월12일 오전 끝난 ‘제10차 남북 경제협력 추진위원회’에서 역대 최다인 총 12개 조항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습니다.
13개월만에 열린 이번 남북 경협 회의는 그 어느 때보다 화기애애한 분위기속에서 경제 현안은 물론, 이른바 신동력산업에 대한 논의까지 활발하게 이뤄졌습니다.
특히 12일 저녁 우리 정부의 ‘대북 중대제안’내용이 밝혀지면서 이 부분에...
-
‘제10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회의’ 합의문 발표
남과 북은 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 10차 회의에서 남북 경제협력 협의사무소를 오는 9월, 개성에 개설하기로 하는 등 12개항으로 구성된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남북은 경의선과 동해선철도 시험운행과 도로 개통식을 10월에 갖고, 철도도 올해 안에 개통하기로 하는 한편, 남북 경제협력협의사무소를 오는 9월 개성에 개설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남북은 철도. 도로 ...
-
정부, 6자 회담 ‘중대제안’ 대책 논의
정부는 7월11일 고위전략회의를 열어 이달 말 재개되는 6자회담에 대한 후속 대책을 논의했습니다.
정부는 지난 2개월간 남북관계를 통해 6자회담 재개에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한 점을 평가하고, 4차 6자회담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계속해 나간다는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위해 남북대화와 한미 공조를 적극 활용해 이른바 ''''중대제안...
-
남북경협 합의문 발표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 10차 회의가 3박4일간의 일정을 모두 마치고 7월12일 막을 내렸습니다.
남북 대표단은 이번 회의에서, 역대 경협위 사상 가장 많은 12개 항목에 합의했습니다.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의에서 밝힌 합의문의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현장리포트
지난주에는 평화통일을 염원하면서 비무장지대 전 구간을 달리는 DMZ 이어달리기 행사가 열렸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호주, 필리핀 등의 주한대사들과 영화 말아톤의 실제 주인공인 배형진씨가 함께해 그 자리가 더욱 빛났다고 합니다.
평화와 통일의 희망을 심어주는 그 현장속으로 함께 들어가봅니다.
-
정책초대석
북한과 미국이 7월 9일 베이징회담에서 제4차 6자회담을 7월 25일이 시작되는 주에 재개할 것을 합의하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13개월만에 재개되는 6자회담. 기대는 큽니다만, 우리의 기대에 부합할 것인지 아직은 미지수입니다.
다시 매듭을 풀어야 하는 6자회담의 의미, 그리고 향후 북핵과 남북관계, 북미관계를 전망해보려 합니다.
자세한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