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개성공단 특구추가
북한은 마그네사이트와 텅스텐 매장량이 세계 1,2위를 달리는 자원의 보고입니다.
이번 회담에서 우리측의 자본과 기술, 그리고 북한의 자원을 결합하기 위한 남북 경협이 큰 중요성을 갖는 이유입니다.
경협 전망을 전합니다.
김미정 기자>
2007 남북정상회담의 이슈중 하나는 남북간의 경제공동체 구축입니다.
남북 경협의 산실인 개성공단에는 현재 만 5천...
-
경제특구 어디에
네, 이같은 경제협력의 산실이 바로 개성공단이죠.
이번 회담에선 개성공단의 활성화와 함께 제2의 개성공단을 조성하는 방안도 주요 의제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예상 후보지와 기대효과를 보도합니다.
박영일 기자>
지난 2004년 12월 개성공단이 첫 가동한 이후 현재까지 생산액은 총 1억9천7백만달러.
생산 첫해인 2005년 1,491만달러였던 ...
-
철도복원 본격 논의
만일 남북철도가 개성까지 이어진다면 남북간의 물류비용은 크게 줄어들 겁니다.
나아가 한반도 종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잇는 남.북.러 철도연결 사업도 이번 회담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경미 기자>
남북철도 개통 여부도 경협부분에서 관심을 모으는 사안입니다.
때문에 우리측은 먼저 사회간접자본, SOC 투자분야 중 철도 부분 협력사업을 우...
-
통일부, 서울~평양 간 회담 중계 역할
노무현 대통령이 평양에 머무는 동안 국정은 한덕수 국무총리 대행체제로 운영됩니다.
24시간 비상체제에 돌입한 정부청사의 움직임을 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용남 기자>
Q1>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양 정상이 만나면서 실무선의 움직임도 분주할 텐데요.. 지금 세종로청사의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A> 네, 대북 주무부처인...
-
美 국무부, `항상 남북대화 지지해왔다`
7년만에 다시 열리는 남북정상회담을 바라보는 주변국의 반응도 궁금한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현아 기자>
Q1> 세계의 이목이 한반도에 집중되고 있는데요, 외국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A> 네, 먼저 미국정부는 원칙적으로는 남북정상회담을 지지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다만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신중한 입장도 나타냈는데요...
-
‘합의 실천하여 신뢰쌓아야’
첫 소식입니다.
조금 전 평양 목란관에서 열린 북측의 공식환영만찬이 끝났습니다.
이로써 2007 남북정상회담의 첫날 일정이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해림 기자>
2일의 마지막 순서였던 환영만찬에선 어떤 얘기들이 나왔습니까.
네, 저녁 7시부터 두 시간 가량 평양 목란관에서 진행된 만찬을 끝으로, 2007 남북정상회담의 첫날 일...
-
평양은 환영물결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평양 시민들의 환영은 공식 환영행사 이전부터 뜨거웠습니다.
평양에 도착한 직후 무개차를 타고 카퍼레이드를 벌이는 노무현 대통령에게, 연도에 늘어선 북한 주민들은 뜨거운 환호를 보냈습니다.
조재익 기자>
평양의 관문인 기념탑 광장 조국통일 3대헌장 기념탑광장.
이어 대동강을 건너고, 평양 중심가의 인민문화궁전에 도착하자 수만 명...
-
군사분계선 넘어 ‘분단의 벽 허물어’
노무현 대통령이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넘는 장면은 TV를 통해 전세계에 생중계됐습니다.
문현구 기자>
남북을 가로지르고 있는 군사분계선은 한반도의 분단과 냉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입니다.
바로 이 곳을 남쪽의 군 통수권자가 직접 밟고 지나갔다는 것은 대내외적으로 평화의 메시지를 던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걸어간 길은 59년전인 19...
-
현재 공식 환영만찬 진행중
노무현 대통령의 정상회담 첫날 일정이 거의 마무리돼 가고 있습니다.
서울 롯데호텔에 마련된 2007 남북정상회담 프레스센터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강명연 기자>
프레스센터에서는 평양에서 공동취재단이 기사와 방송을 위한 화면을 계속 송출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곳이 북한에서 들어오는 소식을 가장 빨리 받아볼 수 있는 곳이기는 하지만 평...
-
경협& 광물자원가치 높다
북한은 마그네사이트와 텅스텐 매장량이 세계 1,2위를 달리는 자원의 보곱니다.
이번 회담에서 우리측의 자본과 기술, 그리고 북한의 자원을 결합하기 위한 남북 경협이 큰 중요성을 갖는 이윱니다.
김미정 기자>
2007 남북정상회담의 이슈중 하나는 남북간의 경제공동체 구축입니다.
남북 경협의 산실인 개성공단에는 현재 만 5천명의 북한 근로자가 우리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