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에너지 강제절약 조치, 공공부문부터 시행

생방송 국정현장

에너지 강제절약 조치, 공공부문부터 시행

등록일 : 2006.05.19

현재의 고유가 상황은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판단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그동안 시행 여부를 놓고 고민하던 에너지 강제절약 조치를 공공부문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19일 청와대에서 제4차 국가에너지자문회의가 열렸습니다.

고유가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 방안이 논의됐습니다.

정부는 지난 4월 이후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에너지 강제절약 조치 시행 여부를 놓고 고민해 왔습니다.

최근 두바이유가 사상 처음 배럴당 65달러를 넘어서는 등 유가급등이 계속되면서 전면 시행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먼저 현행 10부제를 강화해 승용차요일제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여름철 냉방온도 준수와 여름철 간소복 착용 등 의무적 조치를 취해 가기로 했습니다.

이와함께 경차와 소형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 지원제도에 대해서도 전면 재검토 할 방침입니다.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민간부문의 에너지 절약은 자율적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유가가 더 급등하거나 석유수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는 한 민간 부문의 강제절약 조치는 당분간 유보하기로 했습니다.

따라서 이미 발표된 에너지 절약 3.6.9 실천운동을 위주로 홍보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3.6.9 운동은 사용하지 않는 조명의 소등과 자동차 공회전 줄이기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산업자원부는 운동이 확산되면 연간 2조5천억원의 에너지 절감효과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절약과 함께 신재생에너지 개발 보급 전략도 마련됐습니다.

정부는 화석원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수소연료전지와 태양광 등 3대 역점분야 기술 수준을 2011년까지 선진국의 70~90%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공공기관에 신재생에너지 설비 의무화 제도를 적용해 행정복합도시와 혁신도시를 첨단 신재생에너지 도시로 건설하는 방안도 제시됐습니다.